박현욱씨 ‘아내가 결혼했다’ 세계문학상 당선 장편소설
1억원 상금의 제2회 세계문학상 당선작인 박현욱(39)씨의 장편소설 <아내가 결혼했다>(문이당)가 출간되었다.
“아내가 결혼했다. 이게 모두다.(…) 내 인생은 엉망이 되었다.”
소설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앞서 제시된 경구 같은 이 구절은 소설의 핵심을 요약해서 말해준다. 아내의 결혼이라는 납득하기 어려운 사태 앞에 당황하며 그 상황을 수습하려 애쓰는 남자가 주인공이다. 납득하기 어렵다고는 했지만 두 사람이 연애를 거쳐 결혼에 이르는 과정에서 여자는 남자에게 거듭 다짐하며 동의까지 얻어 놓았던 터. 자신은 한 남자만을 사랑할 수 없으며, 어느 쪽이든 사랑하는 다른 사람이 생기면 놓아 주기로 하자고. 그런데 여자는 이혼 대신 두 남자와 동시에 결혼 상태를 유지하는 ‘복혼’ 쪽을 택하며 남자에게도 그에 동참해 주기를 바란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에서는 말도 안 되는 판타지에 지나지 않겠지만, 다른 시간과 공간에서는 가능할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 사회 역시 그 쪽으로 가고 있다는 징후가 보이기도 하구요. 그런 점을 설득력 있게 보여주고자 국내외 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소설 속에 폭넓게 끌어들였습니다.”
소설 출간에 즈음해 28일 낮 기자들과 만난 작가 박씨는 “독자들의 반응이 어떨지 걱정도 했는데, 이렇게 문학상까지 받고 보니 반응이 그다지 나쁘지는 않은 것 같아 다행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소설은 ‘연애’ ‘결혼’ ‘부부’ ‘가족’의 네 부로 이루어졌으며 첫 장의 제목은 ‘모든 것은 축구로부터 시작되었다’이다. 각각 스페인 프로축구 클럽 에프시 바르셀로나와 레알 마드리드의 팬인 여자와 남자의 밀고 당기는 사랑의 드라마는 축구에 관한 잡학적 지식과 사실들의 나열로써 보완된다. 소설은 남녀의 사랑과 결혼을 둘러싼 통속적 서사와 축구에 관한 ‘비문학적’·파편적 서사가 평행을 이루며 진행된다.
“일처다부라는 파격적인 소재를 직설적으로 서술하면 거부감이 클 것 같아 일종의 서브(하위)플롯으로 축구 이야기를 끌어들였죠. 개인적으로 축구를 좋아하기도 하구요.”
<아내가 결혼했다>는 여러 모로 이만교씨의 소설 <결혼은, 미친 짓이다>를 연상시킨다. 두 작품 모두 (일부일처제)결혼이라는 제도에 대한 강력한 회의에 근거하며, 그런 생각을 ‘있어 보이는’ 담론으로써 뒷받침한다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 영화처럼 속도감 있게 진행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박현욱씨는 2001년 경장편 <동정 없는 세상>으로 제6회 문학동네 신인작가상을 수상하며 등단했다. 어른의 문턱에 선 소년을 주인공 삼아 성에 관한 판타지를 경쾌하게 풀어 나간 등단작에 대해서는 ‘재미만 있다’는 평가도 없지 않았다. 작가는 그에 개의치 않는다는 태도다. “저 역시 이른바 세계명작을 읽다가 집어던지기도 합니다. 독자의 의견은 다양할 수 있으며 저는 그 의견들을 존중합니다.” 최재봉 문학전문기자 bong@hani.co.kr, 사진 세계일보 제공
박현욱씨는 2001년 경장편 <동정 없는 세상>으로 제6회 문학동네 신인작가상을 수상하며 등단했다. 어른의 문턱에 선 소년을 주인공 삼아 성에 관한 판타지를 경쾌하게 풀어 나간 등단작에 대해서는 ‘재미만 있다’는 평가도 없지 않았다. 작가는 그에 개의치 않는다는 태도다. “저 역시 이른바 세계명작을 읽다가 집어던지기도 합니다. 독자의 의견은 다양할 수 있으며 저는 그 의견들을 존중합니다.” 최재봉 문학전문기자 bong@hani.co.kr, 사진 세계일보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