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미안하다 감동했다, 워런·빌

등록 2006-07-02 21:27

저공비행
아침에 신문을 펼쳤다가 워렌 버핏이 35조원을 기부한다는, ‘천문학적인 금액’이라는 상투어가 떠오르는 기사를 읽었다. 떠오르는 게 있으면 가라앉는 게 있는 법. 이제 경제신문 같은 데서 흔히 볼 수 있었던 ‘한국의 워렌 버핏’이라는 상투어는 사라지게 됐다. 지금까지는 주식투자 잘 하면 ‘한국의 워렌 버핏’이라는 수사를 붙였는데, 이제는 돈 많은 사람들이 이 상투어에 질겁할 테니까.

기부금 액수만 해도 넋이 빠질 정도인데, 그와 친구인 빌 게이츠의 말들이 내 가슴을 울렸다. 버핏이 부시 미국대통령의 상속세 폐지 시도를 두고 “혐오스런 행위”라고 말한 건 약과다. 나를 놀라게 한 건 “15년이 걸리든 25년이 걸리든 우리 생애에 에이즈 백신이 개발되길 꿈꾼다”는 빌 게이츠의 말이었다. 미안해, 빌. 그동안 윈도우의 파란 화면이 뜰 때마다, 혹은 빌어먹을 프로그램이 응답하지 않을 때마다, 그리하여 나의 보석 같은 원고들이 날아갈 때마다 맹렬하게 너를 욕한 것.

솔직히, 나 감동했다. 이번 월드컵에서 아프리카의 돌풍이 사라졌다는 말이 나왔는데, 사실 에이즈 문제를 그대로 놔두면 아프리카의 돌풍이라는 말도 ‘한국의 워렌 버핏’이라는 수식어와 마찬가지의 신세가 될 것이다. 예컨대 보츠와나에서는 2000년 현재 65세였던 평균수명이 2005년에는 31세로, 짐바브웨에서는 53세였던 것이 27세로 줄어들 전망이라고 한다. 말하자면 보츠와나에서는 이을용, 짐바브웨에서는 설기현의 나이 정도면 인생 다 산 것이라고 봐야한다는 말이다. 이런 판국에 무슨 수로 국가대표팀을 소집할 수 있을까.

이 속수무책의 상황 속에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돈이다. 전세계 에이즈 환자의 75%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거주하는데, 이들 환자의 치료비로 나가는 돈이 1년에 300달러 정도다. 코트디부아르에서 이 돈은 작은 농장이 벌어들이는 1년 수입의 절반쯤이라고 한다. 아프리카에서 문제는 바로 돈, 오직 돈이다. 그럼 돈은 어디로 갔는가? 미국 잡지 <포보스>에 따르면 돈은 부자들에게 갔다. 2002년 세계 최대 부호 7명은 6억 5천 만명이 살고 있는 저개발국 49개국의 국내총생산보다 더 많은 재산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데 2002년 <포보스> 선정 세계 최고의 부자 1위가 빌 게이츠였고 2위가 워렌 버핏이었다. 그러니 내가 어찌 감동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내게도 내 생애에 이루고 싶은 소망이 있을까, 고민하던 중 이명박 서울 시장의 인터뷰 기사를 봤다. 이명박 시장은 기업의 상속세가 너무 무거워 법을 지키면서 상속할 경우 2~3대면 기업이 문을 닫거나 매각될 수밖에 없다면서 기업의 상속세를 대폭 낮춰 부담 없이 상속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단다. 버핏의 기부와 관련해 조선일보는 사설에서 “여론의 압력을 통해 사유재산의 사회헌납을 강요하는 전근대적 국가권력”이라고 우리 처지를 설명했는데, 혹시 이 시장이 말하는 부담과 조선일보가 말하는 압력이 같은 뜻인지 모르겠다.

그렇거나 말거나, 압력이든 부담이든 좀 시시하다. 아, 이 사회에서 돈을 많이 번다는 게 그렇게 부담스럽고 압력이 많은 일이었구나, 하는 이해심은 전혀 안 생긴다. 잘 사는 사람들이 그렇게 압력과 부담을 느끼고 산다면, 보통 사람들은 무슨 희망으로 살아가야만 하나. 돈이 없다면 꿈이라도 꿔야 할 텐데. 잘 사는 게 무슨 죄인가, 잘 사는 사람답게 ‘부담 없이’ 살 생각하지 말고 ‘잘’ 살면 되는 거지. 그래서 이런 소리를 두고 무병신음, 병 없이 앓는 소리라고 한다. 10위 안에 든 세계 최고의 부자들이 전 재산을 기부해도 이 끙끙대는 소리만은 없애지 못할 것이니 나도 내 생애에 그런 신음이 없어지기를 꿈꾸는 소망 정도는 가지고 있다는 것을 피력하고 싶다.

김연수/소설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