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금강산에서 남과 북, 해외 문학인을 망라하는 민족적 문학단체 ‘6·15 민족문학인협회’ 결성.
‘6·15 민족문학인협회’ 금강산에서 공식출범
통일문학상 제정 등 결의
통일문학상 제정 등 결의
분단 60년 만에 처음으로 남북 단일 문학인 조직이 탄생했다.
남북을 대표하는 문인 100여명은 30일 오후 금강산에서 만나 ‘6·15 민족문학인협회’ 결성식을 열고, 남북 단일 작가모임을 공식 출범시켰다. 남북 문인들이 단일 협의체 형식의 문학인 조직을 꾸린 것은 분단 이후 처음이다.
이들은 결성식을 통해 공동회장단을 선출하고, 남북 문인들을 대상으로 한 ‘6·15 통일문학상’ 제정, 협회 기관지인 <통일문학> 발행 등을 결의했다. 협회는 또 6·15 공동선언을 지지하는 전민족적 문학단체로서 민족문화 전통과 민족어의 우수성을 지켜내기 위한 문학활동을 벌여나갈 뜻을 담은 4개조 13개항의 협회규약을 발표했다.
남쪽 공동회장단에는 회장 염무웅(평론가)씨를 비롯해 부회장 신세훈(시인), 정희성(시인), 집행위원 도종환(시인), 김재용(평론가), 이문재(시인), 정도상(소설가), 한분순(시인)씨 등 8명이 선출됐다. 북쪽 회장단은 회장 김덕철(소설가)씨를 비롯해 남대현(소설가) 장혜명(시인), 최길상(평론가), 박철(시인), 황원철(소설가), 허일용(수필가), 주종선(수필가)씨 등 역시 8명으로 구성됐다.
결성식에 북쪽 명예손님으로 참석한 정덕기 6·15 공동선언 실천 북측위원회 부위원장은 “겨레의 마음속에 통일의 희망과 신심을 안겨줄 통일문학 창조의 새로운 활로를 개척한 역사적 사변”이라며 “6·15 시대정신이 반영되고 민족 자주의식이 맥맥히 흐르는 통일문학을 창작해 나가자”고 말했다. 남쪽 명예손님인 김상근 6·15 공동선언 실천 남측위원회 공동대표도 “협회 출범은 6·15 공동선언 실천에서 또 하나의 큰 발걸음”이라며 “협회 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문학의 다양한 쇄신은 분단의 폐해를 한층 절실하게 체득하게 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 문인들은 결성식에 이어 ‘금강산 문학의 밤’ 행사를 열었다. 이번 결성식에 남쪽에서는 도종환·나희덕·박범신·장석남·황인숙·윤정모·은희경·이문재·정양·최인석·송기숙씨 등 50여명이, 북쪽에서는 정기종·김우경·김철·리준길씨 등 30여명이 참가했다.
협회는 남북 작가들의 공동 취재와 공동 집필 등 교류 사업도 펴나갈 방침이다. 금강산/공동취재단, 최재봉 문학전문 기자 b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