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문화일반

‘문지 시인선’ 300호 기념 ‘쨍한 사랑노래’

등록 2005-07-05 17:04수정 2005-07-05 17:04


28년간 쌓아올린 ‘현대시의 큰 축’

301호는 오규원 시집 ‘새와 나무와 새똥 그리고 돌멩이’ 로

문학과지성사에서 내고 있는 시집 시리즈 ‘문학과지성 시인선’(‘시인선’)이 300권째를 돌파했다. 1977년 황동규씨의 시집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를 내면서 출범한 지 28년 만의 일이다.

문학과지성사는 ‘시인선’의 300권째로 201호~299호까지의 시집에서 사랑시 한 편씩을 골라 실은 시선집 <쨍한 사랑 노래>를 펴내 300호 달성을 자축했다. 아울러 오규원씨의 신작 시집 <새와 나무와 새똥 그리고 돌멩이>를 301호로 내놓으면서 새로운 출발을 알렸다. 표지 디자인은 기왕의 큰 틀을 유지한 채 바탕색을 200번대의 초록색에서 초콜릿색으로 바꾸었다. 그동안 ‘시인선’의 표지 바탕색은 황토색(1호~99호)에서부터 청색(100호~199호)으로, 그리고 다시 초록색으로 바뀌어 왔다.

문학에, 더구나 시에 결코 우호적이었다고는 할 수 없었던 시대를 헤쳐 오면서 ‘시인선’은 한국 현대시의 핵심적인 한 축을 감당해 왔다. 경쟁적 동반자 관계라 할 창작과비평사에서 내는 ‘창비시선’이 한국 시의 사실주의적·참여적 흐름을 주도했다면, ‘시인선’은 그 모더니즘적·지성적 갈래를 대표했다 할 만하다.

‘시인선’은 그간 매 백 번째의 시집을 그 이전 1~99번까지의 시집에서 각 한 편씩을 뽑아 시선집을 엮어 온 전통을 지니고 있다. 1990년 12월에 100권째 기념 시선집 <길이 끝난 곳에서 길은 다시 시작되고>(김주연 엮음)를 냈으며, 1997년 6월에는 200권째 시선집 <시야, 너 아니냐?>(성민엽·정과리 엮음)를 낸 바 있다. 이번 300호 기념 시선집 <쨍한 사랑 노래>는 평론가 박혜경씨와 이광호씨가 편집했다. 100권째가 이른바 ‘문지 1세대’ 평론가를 엮은이로 내세우고 200권째가 ‘문지 2세대’ 평론가의 손을 빌린 데 이어 ‘문지 3세대’가 300권째를 갈무리한 셈이다.

이번 기념 시선집에는 황지우·정현종·이윤학·김혜순·채호기·이성복씨 등의 사랑 노래가 실렸다. 이 가운데 제268권인 황동규씨의 시집 <우연에 기댈 때도 있었다>에 실린 표제시는 아래와 같다.


“게처럼 꽉 물고 놓지 않으려는 마음을/게 발처럼 뚝뚝 끊어버리고/마음 없이 살고 싶다./조용히, 방금 스쳐간 구름보다도 조용히,/마음 비우고가 아니라/그냥 마음 없이 살고 싶다./저물녘, 마음속 흐르던 강물들 서로 얽혀/온 길 갈 길 잃고 헤맬 때/어떤 강물은 가슴 답답해 둔치로 기어올랐다가/할 수 없이 흘러내린다./그 흘러내린 자리를/마음 사라진 자리로 삼고 싶다./내림 줄 쳐진 시간 본 적이 있는가?”(<쨍한 사랑 노래> 전문)

‘시인선’은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이성복)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황지우) <한 꽃송이>(정현종) <이 시대의 사랑>(최승자) <바람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 한다>(유하) <입 속의 검은 잎>(기형도) 등 숱한 스테디셀러를 거느리고 있다. 권위의 김수영문학상을 1982년~85년, 1992년~97년, 2002년~2004년 연속 수상한 것을 비롯해 대산문학상, 동서문학상, 백석문학상, 현대문학상 등을 여러 차례 수상했다.

‘시인선’이 300호를 돌파한 데 이어 ‘창비시선’이 최근 249권째를 내며 뒤를 쫓고 있고, 실천문학사와 세계사, 민음사가 각기 100권대의 시집 시리즈를 내놓고 있다.

최재봉 문학전문기자 b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