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당 평균 노동시간 47.2시간…2년 전보다 2시간 줄어
하루 여가시간은 3.6시간으로 늘어…TV 시청이 1위
하루 여가시간은 3.6시간으로 늘어…TV 시청이 1위
올해 국민들의 평균 여가시간은 늘었으나, 텔레비전 시청, 인터넷 검색 등 소극적 휴식 위주로 시간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17일 발표한 올해 ‘국민 여가 활동 조사’ 결과를 보면, 국내 주당 평균 노동시간은 47.2시간으로 2012년 49.1시간에 비해 1.9시간 줄었다. 하루 평균 여가시간은 평일 3.6시간, 휴일은 5.8시간이었으며, 평균 휴가 일수는 6일, 여가 비용은 13만원으로 파악됐다. 2012년 조사 때의 3.3시간, 5.1시간, 5.1일, 12만 5천 원보다 조금씩 늘어난 수치다.
또, 지난 1년간 국민들이 가장 많이 즐긴 개별 여가활동(1순위 기준)은 텔레비전 시청(51.4%)으로 조사됐다. 다음은 인터넷/에스엔에스(SNS)(11.5%), 산책(4.5%), 게임(4.0%) 차례로, 소극적 휴식활동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문체부 쪽은 설명했다. 여가활동은 혼자서 하는 경우(56.8%)가 가장 많았고, 이어서 가족과 함께하는 경우(32.1%), 친구와 함께하는 경우(8.3%)의 순으로 나왔다. 특히 ‘가족과 함께하는 경우’가 2012년(21.9%)보다 수치가 늘었다. ‘국민여가활동조사’는 2년 주기로 벌어진다. 이번 조사는 전국 17개 시도, 만 15세 이상 성인 남녀 1만명을 대상으로 1대1 방문면접조사를 통해 실시됐다.
한편,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연구로 산출한 국민들의 문화여가행복지수는 총 70.1점이었다. 이 지수는 국민들이 문화여가를 통해 어느 정도의 행복을 누릴 수 있는가를 수치화한 것이다. 각 항목별 지수를 보면, 남성이 여성보다(70.5점/69.7점), 20대가 70세 이상보다(72.6점/65.6점), 고소득자가 저소득자보다(가구 소득 600만원 이상 73.1점/ 100만 원 미만 64.2점), 대도시 거주자가 지방거주자보다(대도시 70.6점/중소도시 70.3점/읍면 68.2점) 높게 나왔다. 성별·연령별·가구소득별·지역별로 행복감에 대한 편차가 뚜렷하게 엇갈리는 셈이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