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북 경주시 황남동 주택신축터에서 발견된 고신라 돌무지덧널무덤 1호분 내부. 사진 아랫부분에 겹쳐진 남녀 유골들이 희미하게 보인다. 문화재청 제공
경주 황남동서 적석목곽분 발견
여성 아래 눕고 남성이 마주봐
금귀고리 착용 귀족 여성 추정
순장설 유력…연인관계일 수도
여성 아래 눕고 남성이 마주봐
금귀고리 착용 귀족 여성 추정
순장설 유력…연인관계일 수도
유골로 남은 1500여년 전 두 신라 남녀는 생전 어떤 사이였을까.
젊은 남녀의 유골이 위아래 겹쳐진 채 묻힌 5~6세기 고신라 무덤이 경주에서 발견됐다. 발굴조사기관인 신라문화유산연구원은 경주시 황남동 95-6번지 단독주택 신축터를 최근 조사한 결과 20~30대로 보이는 남녀 인골과 금속 장신구, 말갖춤 등이 묻힌 신라시대 돌무지덧널무덤(적석목곽분)을 찾아냈다고 9일 발표했다.
두 인골은 1호 돌무지덧널무덤 바닥에 누운 아래쪽 여성 인골 위에 남성 인골이 비스듬히 겹쳐진 모양새로 출토됐다. 무덤 주인으로 짐작되는 이는 여성 인골로 금귀고리와 금박을 장식한 허리띠를 차고 있었다. 유골 전문가인 김재현 동아대 교수의 분석 결과 이 인골은 허벅지뼈가 얇고 두개골 귓바퀴 뒤쪽 뼈 형태 등으로 미뤄 30대 여성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남성 인골은 종아리뼈 발달 정도와 이빨 상태 등에서 20대 청년이며 착용한 유물은 없었다. 두 주검이 놓인 곳 동쪽에는 껴묻거리(부장품)를 묻는 별도 공간도 발견됐는데, 말안장과 발걸이 등의 말갖춤과 큰칼 등이 나왔다. 또 1호 무덤에 딸린 2호 무덤에서도 용무늬를 고리 부분에 형상화한 은허리띠 등 고급 장신구들이 쏟아졌다.
남녀 인골이 포개진 것은 어떤 의미일까. 연구원 쪽은 정황상 여성 유력자 무덤에 남성이 순장됐을 것이란 추정을 내놓았다. 여성의 차림새와 고급 부장품들로 미뤄 이 여성이 신라 귀족이며, 포개진 남성은 부하 또는 시종으로 순장됐다는 설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삼국시대 순장은 널리 퍼진 장례 풍습이었으나, 여성 무덤에 남성을 순장한 것이나, 한 무덤 공간에 나란히 주인과 순장자의 인골이 발견된 경우는 처음이다. 유물로 미뤄 여성이 말 타고 무기를 다뤘던 전사였을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학계 한편에서는 남녀 인골이 위아래로 마주보는 자세를 취하고 있어 생전 연인 관계였을 가능성도 살펴봐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저승에서도 사랑을 확인하려는 징표인지, 유력자 무덤에 하급자를 죽여 묻는 순장인지가 풀어야 할 수수께끼로 남게 됐다.
조사된 유적에서는 돌무지덧널무덤 7기를 비롯해 움무덤 3기, 덧널무덤 11기, 독무덤 1기 등 24기의 고신라 무덤들도 다수 확인돼 당시의 묘제와 장례 풍습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경주 시내에서는 발견 사례가 드문 신라 초기 덧널무덤들이 한곳에서 다수 출토됐다는 점도 학계는 주목하고 있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