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 나의 시를 말한다
이 주의 시인 이원
봄 셔츠 -<문학동네> 2014 여름호 수록
당신의 봄 셔츠를 구하고 싶습니다
사랑을 만져 본 팔이 들어갈 곳이 두 군데
맹목이 나타날 곳이 한 군데 뚫려 있어야 하고
색은 푸르고
일정하지 않은 바느질 자국이 그대로 보이면 했습니다 봄 셔츠를 구하고 싶었습니다
차돌을 닮은 첫 번째 단추와
새알을 닮은 두 번째 단추와
위장을 모르는 세 번째 단추와
전력(全力)만 아는 네 번째 단추와
잘 돌아왔다는 인사의 다섯 번째 단추가 눈동자처럼 끼워지는 셔츠 들어갈 구멍이 보이지 않아도
사명감으로 달린 여섯 번째 단추가
심장과 겹쳐지는 곳에 주머니가
숨어서 빛나고 있는
셔츠를 입고 사라진 새들의 흔적인 하늘
아래에서
셔츠 밖으로 나온
당신의 손은 무엇을 할 수 있나요 목에서 얼굴이 뻗어나가며,
보라는 것입니다 굳지 않은 피로 만든 단추.
우리의 셔츠 가장 안쪽에 달려 있는
사랑을 만져 본 팔이 들어갈 곳이 두 군데
맹목이 나타날 곳이 한 군데 뚫려 있어야 하고
색은 푸르고
일정하지 않은 바느질 자국이 그대로 보이면 했습니다 봄 셔츠를 구하고 싶었습니다
차돌을 닮은 첫 번째 단추와
새알을 닮은 두 번째 단추와
위장을 모르는 세 번째 단추와
전력(全力)만 아는 네 번째 단추와
잘 돌아왔다는 인사의 다섯 번째 단추가 눈동자처럼 끼워지는 셔츠 들어갈 구멍이 보이지 않아도
사명감으로 달린 여섯 번째 단추가
심장과 겹쳐지는 곳에 주머니가
숨어서 빛나고 있는
셔츠를 입고 사라진 새들의 흔적인 하늘
아래에서
셔츠 밖으로 나온
당신의 손은 무엇을 할 수 있나요 목에서 얼굴이 뻗어나가며,
보라는 것입니다 굳지 않은 피로 만든 단추.
우리의 셔츠 가장 안쪽에 달려 있는
이원
텅 빈 주체의 얼굴을 그리다 “얼굴이 거울을 열고 들어간다 나도 따라 들어가려고 하니 얼굴은 어느새 거울을 잠가버린다”(‘얼굴이 그립다’). “제 얼굴을 들여다보고 있는 자의 시선은/ 안으로 향해 있다 제 안의 어둠이 유일/ 한 경전이 되는 세계.”(‘얼굴 속으로’) 얼굴은 ‘나’를 앞서가거나 ‘나’의 뒤에, 너머에 남아 있다. ‘나’는 얼굴이 없는 대신, 잃어버린 얼굴을 들여다보는 시선, 즉 눈을 갖고 있다. 얼굴 없이 홀로 방황하는 발을 갖고 있기도 하다. 얼굴을 잃고 분해된 기관으로 존재-부재하는 ‘나’는 “제 안의 어둠”만을 들여다보며 그 어둠에 포위된다. 얼굴 없는 자의 어두운 내면은, 단적으로 말하면, 상실과 부재의 존재 방식을 주입하는 현대문명의 메커니즘의 산물로, 현대적 자아와 주체의 텅 빈 내부를 의미한다. 내면은 인간의 깊이와 인간성을 보장하고 시를 탄생시키는 무한한 심연에서, 인간 존재와 주체의 소멸이 진행되는 황폐한 사막으로 변했다. 시의 형질과 시 쓰기의 방법, 시적 주체의 위상이 달라져야 할 것은 자명하다. 디지털 시대의 초입에 이 원은 ‘클릭의 코기토’와 ‘마우스의 존재 선언’으로 이런 정황을 압축했다. “나는 클릭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집 속에 마우스와 내가 있다.” 클릭으로 존재 근거를 확보하고, 마침내 마우스와 등가의 존재가 된 ‘나’는 디지털이라는 거대 기계의 한 부품이다. 일상에서 종종, “가볍고 사소해/ 마치 인간이 된 듯한 기분”을 느끼는 비인간이다. 다음은 비인간 시인의 시적 신념의 한 대목. “내가 노래하는 방식으로서가 아닌 용접의 방식으로 시를 쓸 수밖에 없는 것은 언어에 함부로 피와 살을 이식하는 일을 하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세계는 표현하는 만큼 존재한다’) ‘나’의 부재를 응시하면서, 허구와 가상의 “없는 안을 만들어내”(‘살가죽이 벗겨진 자화상’)지 않고, 오직 표현함으로써 세계를 다시 존재하게 만드는 것. 이원의 시는 지금, ‘없는 나’가 건설하는 ‘있음의 세계’에 “불쑥 팔부터 넣고 본 상태. 목은 나타나지 않은 상태”. 조만간 얼굴이 만들어질 상태. 김수이 문학평론가·경희대 교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