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의 서울 평창동 땅 매각을 비판하는 펼침막. 서울 종로구 평창주민센터 옆 자문밖문화포럼 사무실 건물 외벽에 붙어 있다.
국민대가 지난 2015년 종로구청과 지역 예술인 단체(평창문화포럼)에 예술대 건립을 공표하며 용도변경 혜택을 받았던 서울 평창동 땅을 상의 없이 지난해 매각해 예술계 반발이 일고 있다는
<한겨레> 단독보도(6일치 9면)와 관련해 해결책을 요구하는 성명이 나왔다.
평창문화포럼의 후신으로 서울 평창동·구기동 일대에 거주·활동하는 예술인 모임인 자문밖문화포럼(이하 포럼)은 7일 발표한 성명을 통해 “포럼 및 종로구청과 아무 상의 없이 거액에 땅을 매각한 사실에 큰 실망감을 표하며 해당 부지를 인수한 업체와 함께 책임 있는 해결책 제시를 강력하게 요청한다”며 “해결책과 소명이 확실하지 않을 경우 법률상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포럼은 성명에서 “예술대 건립 안은 평창동 일대의 예술문화지구 조성을 위한 주요 사업 중 하나로 지역 주민들과 본 기관으로부터 큰 기대를 받았다”며 “종로구청과 포럼은 국민대와 양해각서(MOU)를 맺고, 초중교 부지였고 건설폐기물장으로 쓰이던 해당 필지의 용지 지정계획을 변경하고 폐기물장 이전 등으로 대학 건물 설립이 가능해지도록 도왔는데, 국민대가 지난해 5월 땅을 매각해 수백억원의 시세차익을 챙긴 뒤 재정 악화로 매각했다는 무책임한 대답만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포럼은 이어 “예술인들과 구청의 노력으로 해당 사유지의 도시계획이 변경돼 땅값이 뛰자 팔아넘기고 막대한 이익을 추구한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 국민대 쪽은 분란을 야기한 책임을 통감하고 해결책을 제시하고, 땅을 인수한 개발업체는 매입 목적과 부지 활용 계획을 정확히 소명하기를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국민대가 매각한 땅은 평창동을 가로지르는 큰 길인 ‘평창문화로’ 인근의 평창동 147-2, 81~84번지 등에 있는 15필지의 경사진 땅 2만8701㎡(8682평)이다. 인근 대로변에는 서울시립미술아카이브관 등이 포함된 미술복합문화공간과 서울예고 음악당이 현재 건축중이다. 이런 상징적 입지 때문에 세 건물의 건립은 자문밖 예술문화지구 조성을 위한 핵심 사업으로 지목돼왔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