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진영 "육두문자를 입에 달고 연기했지요"
김승우 "이렇게 나쁜 놈이 진짜로 있을까요"
김승우 "이렇게 나쁜 놈이 진짜로 있을까요"
장진영과 김승우가 작심한 듯 새로운 캐릭터에 도전한다. 도회적이고 세련된 이미지를 갖고 있는 장진영이 자신이 선택한 사랑에 무너져내리는 술집 여자 연아를 연기하고, 역시 여유 있고 선한 남성상으로 어필해온 김승우는 약혼녀가 있음에도 이기적인 사랑에 빠지는 '백수' 영운이 됐다.
영화 '보고 싶은 얼굴'(감독 김해곤, 제작 굿플레이어)에서다. '파이란'의 시나리오 작가이자 '달콤한 인생'의 무기판매상으로 등장했던 배우 김해곤의 감독 데뷔작.
공포영화 '소름'을 제외하고는 '오버 더 레인보우' '국화꽃 향기' '싱글즈' '청연' 등 출연작을 통해 영화가 배경으로 삼은 시대에서 세련된 여인의 풍모를 보였던 장진영은 15일 부산 세트 촬영장과 촬영 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제 곧 끝나가는 시점인데도 잘하고 있는지 아직도 잘 모르겠다"고 털어놓았다.
촬영장에서 본 그는 과격한 육두문자를 입에 달고 연기했다. 거칠게 소리치고, 미친 듯이 욕을 내뱉는다. 그 자신 배우이기도 한 데다 욕설에는 조예가 깊어(?) 직접 배우들에게 욕설 대사를 가르친다는 김해곤 감독은 "승우 씨는 나름대로 욕의 맛을 내줬는데, 진영 씨는 처음엔 많이 헤맸다. 그런데 지금은 '하산'해도 좋을 정도"라고 소개하기도 했다.
장진영은 "영화에서 욕은 처음 해 봤다. 처음 시나리오를 보면서부터 걱정되는 부분이 참 많았다"고 말하면서 그럼에도 이 시나리오를 택한 이유에 대해 "내가 본 시나리오 중 제일 좋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약혼녀가 있어 우유부단하고, 자신을 사랑한다면서 희생을 강요하는 영운 같은 별 볼일 없는 남자를 사랑하게 된 연아의 사랑은 과연 무엇일까.
"솔직히 연아의 성격은 예측 불가능해요. 보통 우리가 만나는 사람과 다르죠. 자신이 선택한 남자를 사랑할 줄 아는 여자예요. 촬영 장면마다 힘들었어요. 어떤 때는 사랑스럽기 그지없는 여자였다가 어떤 때는 미친 여자처럼 거품을 물고 난리치죠. 그 변화 무쌍한 성격을 표현하는 게 가장 힘들었습니다." '라이터를 켜라' '불어라 봄바람' 등에서 유약한 남자 역을 연기하기는 했지만 김승우가 '보고 싶은 얼굴'에서 연기하는 톤은 그것과는 다르다. 아무런 미래 없이 살아가면서도 한 여자를 사랑한다 말한다. 그렇다고 그 여자를 책임지는 것도 아니다. 데뷔작인 '장군의 아들'에 함께 출연하면서부터 김해곤 감독과 친한 선후배가 된 김승우는 "20대 후반에는 내가 좋아하는 형이 시나리오를 써서(이 작품은 98년 김 감독이 쓴 것) 되도록 긍정적으로 보려했지만 그렇게 보이지는 않았다"고 말하며 "그러나 이제 30대 중반을 넘어선 나이에 다시 보게 되니 이처럼 사실적인 이야기가 없고 가슴에 와닿았다"고 작품을 대하는 느낌을 말했다. 그러나 그는 "그렇다고 영운을 완벽하게 이해하지는 않았다. 신혼여행을 갔다오자마자 애인의 품에 안기는 그런 모습처럼 그렇게 막 살지는 않았기 때문"이라 말하며 호탕하게 웃었다. 김 감독은 촬영장에서 김승우의 연기에 대해 아낌없는 칭찬을 하기도 했다. "김승우의 최고의 연기를 보게 될 것"이라는 큰소리도 쳤다. 김승우는 "진짜 이런 나쁜 놈이 있을까 납득이 가지 않아 고민했는데, 친한 친구들이 '정말 좋은 작품이다' '이건 내 이야기 같다'고 출연을 적극 권유해 도전하기로 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촬영이 끝나가는 즈음 여전히 많이 아쉽기는 하지만 가슴에 손을 얹고 최선을 다했다고 말할 수는 있는 작품"이라고 조심스럽게 말했다. '보고 싶은 얼굴'은 5월 개봉 예정이다. 김가희 기자 kahee@yna.co.kr (부산=연합뉴스)
"솔직히 연아의 성격은 예측 불가능해요. 보통 우리가 만나는 사람과 다르죠. 자신이 선택한 남자를 사랑할 줄 아는 여자예요. 촬영 장면마다 힘들었어요. 어떤 때는 사랑스럽기 그지없는 여자였다가 어떤 때는 미친 여자처럼 거품을 물고 난리치죠. 그 변화 무쌍한 성격을 표현하는 게 가장 힘들었습니다." '라이터를 켜라' '불어라 봄바람' 등에서 유약한 남자 역을 연기하기는 했지만 김승우가 '보고 싶은 얼굴'에서 연기하는 톤은 그것과는 다르다. 아무런 미래 없이 살아가면서도 한 여자를 사랑한다 말한다. 그렇다고 그 여자를 책임지는 것도 아니다. 데뷔작인 '장군의 아들'에 함께 출연하면서부터 김해곤 감독과 친한 선후배가 된 김승우는 "20대 후반에는 내가 좋아하는 형이 시나리오를 써서(이 작품은 98년 김 감독이 쓴 것) 되도록 긍정적으로 보려했지만 그렇게 보이지는 않았다"고 말하며 "그러나 이제 30대 중반을 넘어선 나이에 다시 보게 되니 이처럼 사실적인 이야기가 없고 가슴에 와닿았다"고 작품을 대하는 느낌을 말했다. 그러나 그는 "그렇다고 영운을 완벽하게 이해하지는 않았다. 신혼여행을 갔다오자마자 애인의 품에 안기는 그런 모습처럼 그렇게 막 살지는 않았기 때문"이라 말하며 호탕하게 웃었다. 김 감독은 촬영장에서 김승우의 연기에 대해 아낌없는 칭찬을 하기도 했다. "김승우의 최고의 연기를 보게 될 것"이라는 큰소리도 쳤다. 김승우는 "진짜 이런 나쁜 놈이 있을까 납득이 가지 않아 고민했는데, 친한 친구들이 '정말 좋은 작품이다' '이건 내 이야기 같다'고 출연을 적극 권유해 도전하기로 했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촬영이 끝나가는 즈음 여전히 많이 아쉽기는 하지만 가슴에 손을 얹고 최선을 다했다고 말할 수는 있는 작품"이라고 조심스럽게 말했다. '보고 싶은 얼굴'은 5월 개봉 예정이다. 김가희 기자 kahee@yna.co.kr (부산=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