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영화는 보기에 힘들다고 지레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고 김순악 할머니의 매력에 푹 빠져들다 보면 웃음과 감동, 더 나아가 공감과 위로를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고 김순악 할머니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보드랍게>를 연출한 박문칠 우석대 미디어영상학과 교수는 “기존의 ‘위안부’ 영화에서 다루지 못한 새로운 문제의식을 가지고 접근했으므로 김 할머니의 삶을 통해 오늘 우리의 현실을 되돌아볼 기회를 가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 할머니의 전쟁 같은 삶을 말과 그림으로 이어서 아름다운 꽃으로 피워냈다는 평가를 받는 이 영화는 23일 전국 30여개 극장에서 개봉된다. 박 교수와 정신대할머니와함께하는시민모임이 공동제작했고, 인디플러그가 배급한다.
다큐 ‘보드랍게’ 주인공 김순악 할머니. 인디플러그 제공
이 영화는 캐나다에서 한국으로 역이민온 박 교수가 자신의 가족 이야기를 다룬 <마이 플레이스>(2014년)와 성주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 주민들의 투쟁을 담아낸 <파란나비 효과>(2017년)에 이은 세 번째 장편 다큐다. 제21회 전주국제영화제 ‘다큐멘터리상’과 제12회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아름다운 기러기상’을 수상했다.
특히 이 작품은 해방 후 수십 년간 침묵을 강요당하며 삶이 곧 전쟁이었던 ‘위안부’ 할머니들의 시간을 조명함으로써, 일본의 책임을 물을 뿐만 아니라 피해자들의 이야기를 귀담아듣지 못한 한국사회의 문제를 짚고 있다. 더욱이 주인공 김순악 할머니의 삶을 입체적·통시적으로 조망하는 방식을 택해 과거의 여성 ‘김순악’과 현재를 살아가는 이 시대 여성들의 삶을 자연스럽게 잇고 있다.
2019년부터 우석대에서 ‘영상제작법’ 등을 가르치고 있는 박 교수는 “주인공인 김 할머니가 2010년에 운명하셔서 직접 궁금한 점을 인터뷰할 수 없는 어려움도 있었고, 어떤 방법을 통해 창의적으로 연출해야 할지 고민이 많았다”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