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독일, 창백한 어머니>

등록 2005-02-17 17:49수정 2005-02-17 17:49

광기에 무너진,
그대는 나의 어머니

“독일이여, 창백한 어머니여! 너는 그 얼마나 더럽혀진 상태로 세계 사람들 사이에 말없이 서있는가” 독일의 여성감독 헬마 잔더스-브람스의 80년도 영화 <독일, 창백한 어머니>는 브레히트의 시 <독일>의 전문을 낭독하며 시작된다. 시에서 독일을 은유하는 어머니는 아버지(나치)의 광기에 무력하거나 무지했기 때문에 공모자이면서 동시에 아버지가 휘두른 칼에 피흘린 자식의 피를 넓은 치마자락에 받아 내야 하는 희생자이기도 했다. <독일, 창백한 어머니>는 가해자의 입장에 있으면서도 피해자가 될 수 밖에 없었던 한 어머니의 수난사를 통해 전후 독일의 비극을 이야기하는 영화다.

여성 수난사로 본 전후 독일의 비극
감독 자신의 이야기 깊고도 큰 울림

나치즘이 발호하던 2차대전 발발 직전 순진하지만 강단있는 처녀 리네는 단지 로맨티스트이기 때문에 나치당원이 되길 거부했던 한스와 결혼한다. 얼마 뒤 남편은 비당원이라는 이유로 가장 먼저 징집당한다. 이때만 해도 리네는 휴가나올 남편을 맞이할 때 입을 블라우스에 수를 놓기 위해 철없게도 포로수용소로 끌려간 유대인 상점에 빨간 실을 구하러 가는 새신부였지만 그의 이 순진함 또는 무지함도 전쟁의 날카로운 칼끝 앞에서 무너진다. 요란한 공습 사이렌 한 가운에서 딸 안나를 낳은 그는 억척스럽게 생존의 전쟁을 벌여나간다.

그러나 꼬마 안나의 말대로 “전쟁이 끝나면서 우리 집에는 새로운 전쟁이 시작됐다.” 종전 뒤의 또 다른 전쟁, 또는 전쟁이 끝난 시점에서 시작된 비극이야말로 이 영화가 보여주고 싶은 이야기의 핵심이다. 전쟁이 끝나고 남편만 돌아오면 모든 게 전쟁 이전으로 돌아갈 줄 알았던 리네의 소박한 소망은 산산조각난다. 전쟁 초반 젊은 여자들에게 총을 겨누면서 “모두 내 아내같은 여자들이야”라고 울부짖던 한스(실제로 한스가 죽이는 두 여자를 리네역의 에바 마테스가 연기한다)는 집으로 돌아온 뒤 전쟁터에서 그토록 혐오하던 냉혹한 ‘남성’이 되어 출세에만 열을 올리고 집안은 살벌한 군대처럼 변한다. 리네는 충격 때문에 얼굴 반이 마비되버리지만 그를 연민하는 건 세상 물정 모르는 어린 딸 뿐이다.

브레히트는 이 영화의 주제 뿐 아니라 형식에도 기여한다. 감독은 자신의 어머니의 사연을 스크린에 기록하면서도 한 여인의 지독한 수난사에 좀처럼 값싼 동정이나 연민을 드리우지 않는다. 리네는 무너진 자신의 얼굴과 인생에 냉랭하기만 한 남편에게 “내가 원한 건 사랑”이었다고 말한다. 그 절규는 애처럽기보다 공허하게 들린다. 나아가 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가해자와 피해자의 표정을 하나의 얼굴에 새겨야 했던 한 인생의 비극적 딜레마를 읽게 된다. 그럼에도 관객이 냉정함을 끝까지 유지할 수 없는 이유는 이 모든 이야기가 아버지와 어머니 둘 다에게서 따귀를 맞고 자라야했던 그 어린 딸이 자라나 기록하는 어머니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망가진 아버지가 집을 나가고 무력한 어머니가 자살을 하겠다고 걸어잠근 화장실 문 앞에서 어린 안나는 어찌할 줄 몰라한다. 한참 뒤에야 문을 연 어머니를 이제 감싸안아야 하는 건 딸의 몫이다. 여성이나 아이같은 ‘대리인’을 통해 파시즘의 비극을 보여 줬던 뉴저먼시네마의 남성감독들과 달리 자신의 깊은 상처를 고스란히 드러내는 용기와 그러면서도 자기연민에 빠지지 않는 이 영화의 엄정함은 특히 여성관객들에게 마음 속 깊은 곳을 흔드는 울림을 전한다. 18일 개봉.

김은형 기자 dmsgud@hani.co.kr 사진 백두대간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