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김지운 “액션 가미된 느와르 피범벅 러브스토리”

등록 2005-03-22 07:06

톱스타 이병헌과 스타일리스트 김지운 감독이 손잡은 느와르 '달콤한 인생'이 21일 첫 공개됐다. 이 영화는 촬영 도중 일본에 높은 가격에 판매되는 등 국내외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김지운 감독은 무대 인사에서 '달콤한 인생'에 대해 "느와르는 느와르인데액션이 가미된 느와르, 피범벅 러브 스토리"라고 설명했다. 그는 시사회 직후 배우들과 함께 기자회견에 참석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무엇에 관한 영화인가.
△사소한 일로 인해 서로 소통이 안되는 상황이다.돌이켜보면 인물들은 다 멋있는 것 같지만 사실은 정말 바보 같은 남자들의 이야기다. 소통할 수 있는데 그러려고는 안하고, 아무것도 아닌 이유로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을 만든다. 소통없이 엇갈리고 어긋나기만 한다.

--호텔이 무대인 까닭은.
△최대한 느와르 영화에 어울리는 공간을 잡았다. 겉으로는 화려하지만 이면에는 비좁고 어두운 직원 통로 등이 있다. 그게 바로 우리 인생사가 아닌가 싶다. 한순간 발을 잘못 디디면 불행해질 수 있다. 그런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그리고 싶었다.

--제목이 왜 '달콤한 인생'인가.
△주인공 선우가 왜 그렇게 될 수밖에 없나 생각해보면 사랑에 서툴고 자기 감정에 서툴기 때문이다. 우리는 불완전한 인간이기에 어느 순간에는 윤리적인 선택보다 미학적인 인상적인 선택을 하게 된다.
달콤한 선택 말이다. 달콤한 선택에는 쓰라린 고통이 따르게 마련이다.

--라스트 신에서 선우가 섀도우 복싱을 하는 이유는 뭔가.
△선우는 호텔 스카이라운지라는 공간에서 자족적이고 만족스러운 생활을 하고있었다. 유리창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 대단히 만족해한다. 사장의 부탁이 없었다면그대로 그런 삶에 만족하며 살았을 것이다. 그것이 한순간에 어긋난 것이다. 그 표정을 담고 싶었다.

--느와르지만 곳곳에 유머가 있다.
△유머는 내 영화의 베이스다. 난 유머는 영화의 힘이라고까지 생각하는 사람이다. 급작스럽게 발생하는 삶의 단면들이 있는데 그런 것은 꼭 장르적으로 코미디 문법을 따르지 않아도 표현할 수 있다. 삭제된 40분 컷에도 유머러스한 분량이 많은데 아쉽다.

--마무리가 '깔끔'하다. △이 영화 처음 시작할 때부터 깔끔하게 죽이고 싶었다. 삶의 가장 빛나는 순간을, 죽음을 통해 삶의 의미를 다시 생각했으면 하는 뜻으로 이 영화를 제작했다. 느와르는 주인공의 비극적이고 장렬한 죽음이 약간의 공식처럼 들어간다. 그게 식상해서 좀 바꾸는 게 좋지 않을까 하는 의견도 있지만 느와르를 선택하는 자체가 그런것을 받아들인다는 의미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