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제니, 주노’ 의 재희와 준호

등록 2005-04-07 15:52수정 2005-04-07 15:52



15살 아해들이 아이를 낳는다?
어르신들 입 째지겠네

제니와 주노는 방년 15살의 파릇파릇한 아해들이지만, 재희와 준호는 15×2(+α)의 나이를 먹은 늙수그레한 연인 사이였다. 사귀기 시작한지도 어언 몇 해가 흘렀으며 얼마 전 나란히 삼십대의 문턱에 진입한 그 한 쌍. 그들이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듣는 질문이 ‘대체 국수는 언제 먹여 줄 거야?’ 라는 것은 당연지사였다. 결혼? 언젠가는 해야겠지. 둘은 막연히 그렇게 생각했다. 문제는, 언제나 그렇듯, 돈이었다.

준호는 장남이었다. 일찌감치 생활능력을 상실한 부모를 위해 꼬박꼬박 생활비를 보태야했다. 오래 전 주식투자로 진 빚도 아직 남아있었다. 콧구멍만한 직장의 월급은 종종 밀렸다. 그럴 때면 돌려 막은 카드의 결제에 문제가 생길까봐 가슴이 바짝바짝 타 들어가곤 했다. 제 2금융권에서 텔레마케터로 일하는 재희는 계약직이었다. 요즘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인 셈이었다. 결혼하고 계속 지금의 직장에 근무할 수 있을지는 아무도 몰랐다. 서른 넘은 기혼여자가 새로운 직장을 구하는 게 보통 일이 아니라는 것만은 명명백백했다.

서울 혹은 그 언저리에서 신혼집을 얻으려면 수중에 몇 천만 원이라도 쥐고 있어야 했다. 그렇다고 재희는 일일 연속극 속 새댁들처럼 시집에 들어가 시부모와 시동생들과 함께 와글와글 부대끼며 살고 싶지는 않았다. 하긴 그러고 싶어도 그럴만한 여유 공간도 없었지만. 가끔 서울 시내가 한 눈에 내려다보이는 높은 곳에 올라갈 때면 재희와 준호는 작은 한숨을 뱉어내곤 했다. “세상에는 집들이 저렇게 많구나. 저 사람들은 다들 돈이 어디서 났을까?” “그러게 말이야. 결혼하고 집사고 애 낳고. 요즘 같은 시대에 그걸 아무나 할 수 있냐.” “참, 자기야. 그거 알아? 1.2.3 운동이라고. 대한 가족보건복지협횐지 어딘지 하는 데서 캠페인 벌이더라. 결혼한 지 일년 안에, 애 둘을, 서른 살 되기 전에 낳으라는 거래.” “으하하, 고난이도 개그냐? 웃찾사에 나가보라고 해.” “그치? 분수도 모르고 1.2.3 운동을 따라하면 40대에 파산한대.” 큰 소리로 웃었지만 입맛이 썼다. 그들은 동시에, 얼마 전 같이 보았던 영화 <제니 주노>를 떠올리는 중이었다.

열다섯 살의 중학생들이 사랑을 하여 아기를 가지고 결국 그 아기를 ‘지켜낸다는’ 그 영화. 그래, 뭐 그럴 수도 있겠다. 대한민국에서 한 해 동안 낙태당하는 태아의 수가 200만에 가깝다는데, 초등학생들도 임신을 하는 마당이라는데, 사실 별로 충격적이지도 않았다. 그러나 재희와 준호는, 차마 상대방에게 말을 하지는 못했지만 그 웃기는 영화를 보고 마음이 아팠다. 심지어 그 애들이 부럽기도 했다. 세상에는 다만 맘 내키면 아기를 만들고 또 ‘쑴풍’ 낳기만 하면 되는 커플도 있는 것이다. 낳아놓기만 하면 뒤처리는 모두 유복하고 자애로운 어른들 몫이다. 아기는 사랑과 정성을 담뿍 받으며 정상적인 중산층의 어린이로 자랄 것이다. 그러니 <제니, 주노>의 진정한 주제는, 애국도 부모 잘 만나야 할 수 있다는 것. 출산율 저하에 혀를 차며 이 나라의 장래를 걱정하는 어르신들께서, 입이 찢어지도록 흐뭇해 할 영화임에 틀림없었다.

정이현 소설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