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빈 디젤의 코미디 ‘패시파이어’

등록 2005-06-01 16:39수정 2005-06-01 16:39

젖병 일발장전!

<패시파이어>는 <트리플 엑스>로 이름을 떨친 젊은 액션 영웅 빈 디젤의 영화다. 역시 시작부터 바닷속으로 잠수해 해상작전을 수행하는 해군 특수부대원 울프(빈 디젤) 대위의 속도감 넘치는 액션 장면이 이어진다. 과학자를 구출하는 데 성공하고 한숨을 돌리는 순간, 예기치 못한 실수로 과학자가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본격적인 영화의 흐름은 이후의 상황부터다. 최첨단 무기의 비밀을 간직한 채 숨진 과학자의 아이들을 보호하며 무기의 행방을 찾는 임무가 울프에게 떨어진 것이다. 언뜻 그럴싸한 작전 같지만, 실은 천방지축 다섯 남매를 돌봐야 하는 보모 역할이나 마찬가지. 반항기 넘치는 십대 소녀부터 기저귀를 찬 갓난아기까지, 여지껏 맞닥뜨린 그 어떤 적들보다도 막강한 악동들에게 둘러싸인 근육질 사나이의 눈물겨운 보육기가 시작된다.

이 영화는 근육질 액션 스타의 가족 코미디 영화로, 아놀드 슈워제네거의 <유치원에 간 사나이>, 실베스타 스탤론의 <엄마는 해결사> 등의 계보를 충실하게 잇는다. 허리에 찬 탄띠에 탄창 대신 젖병을 채워넣고, 배낭에 군장 대신 기저귀를 담고, 앞뒤로 아기 하나씩을 안고 업은 빈 디젤의 모습에 웃지 않고 버티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기저귀를 갈기에 앞서 아기 엉덩이를 변기통 물 속에 담그고, 애를 재우기 위해 동물 춤을 추는 빈 디젤의 모습은 귀엽기까지 하다.

하지만 영화 초반에서 “난 명령하고 넌 복종한다”고 외치는 울프의 군대식 교육이 별다른 변화 없이 끝까지 이어졌음에도 마침내 가정의 평화를 되찾는다는 설정은 어딘지 거슬린다. 군대문화에 찌든 울프가 따뜻한 가족애에 동화된 게 아니라, 가족들이 군대문화에 동화된 느낌이다. 어설프기 짝이 없는 적으로 등장한 이들이 한국말 대사를 어색하게 내뱉는 북한 사람이라는 설정도 편하지만은 않다. 미국에서의 흥행 성공이 국내에도 그대로 이어질지는 불투명해 보이게 만드는 요인이기도 하다. <웨딩 플래너> <브링 다운 더 하우스> 등 코미디물을 만든 애덤 솅크먼이 감독했다. 3일 개봉.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 사진 브에나비스타인터내셔널코리아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