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미국적 가치’ 맹공격 알드리치 감독 회고전

등록 2005-06-17 17:07수정 2005-06-17 17:07

28일까지 서울아트시네마

1950~60년대 할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와 독립영화를 가로지르며 활동했던 감독 로버트 알드리치(사진·1918~83)의 회고전이 18일부터 28일까지 서울아트시네마(옛 허리우드 극장)에서 열린다. <베라 크루즈> <키스 미 데들리> <더티 더즌> 등의 영화를 연출했던 알드리치는 미국의 어떤 주류 감독보다도 미국 이데올로기의 모순을 격렬하게 공격한 급진주의자로 알려져있다.

1940년 메이저 스튜디오인 알케이오(RKO) 스튜디오에 입사한 그는 장 르누아르, 막스 오퓔스, 찰리 채플린 등 당대 최고 감독들의 조감독 생활을 했다. 그와 함께 작업했던 감독들 가운데 50년대 매카시즘의 ‘빨갱이 사냥’으로 희생된 인물이 많아 그의 좌파적 성향이 선배 감독들의 영향으로 형성됐음을 알려준다. 알드리치의 출세작으로 꼽히는 <키스 미 데들리>(1955)는 ‘필름 누아르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탐정영화의 관습을 파괴하면서 격한 아이러니, 허무주의를 담은 이 영화는 할리우드 장르와 미국적 가치의 야만성을 신랄하게 비판하며 프랑스 누벨바그 감독들에게까지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알드리치는 누아르, 서부극, 전쟁영화, 멜로, 호러 등 거의 모든 장르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작품을 만들었다. <키스 미 데들리>의 성공 이후 독립영화사를 차려 할리우드를 맹공격하는 영화 <빅 나이프>를 만들었다가 실패한 그는 다시 스튜디오로 들어와 사형수들이 등장하는 전쟁영화 <더티 더즌>(1967)을 만들어 재기에 성공했다. 그 밖에 중기 걸작인 <베이비 제인에게 무슨 일이 생겼는가>(1962)는 고딕 호러 양식을 빌어와 오락산업 뒤에 깔린 현실의 무시무시함을 신랄하게 조롱했다. 이번 회고전에서는 초기 걸작인 <랜섬> <아파치> <베라 크루즈>를 비롯해 마지막 연출작인 <캘리포니아 돌즈>(1981)까지 대표작 13편을 상영한다. 21일 오후 6시에 열리는 특별 심포지엄에는 알드리치의 열혈팬을 자임하는 박찬욱 감독과 오승욱 감독이 토론자로 나선다. 서울 상영이 끝난 뒤 6월29일부터 7월10일까지 시네마테크 부산에서도 같은 프로그램을 상영한다.

김은형 기자 dmsgu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