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우주전쟁> 지구 구하기 관심없다 내 가족 지킬뿐

등록 2005-07-06 18:26수정 2005-07-06 18:26


외계인의 급작스런 침략
지구는 아수라장되고
무기력했던 아빠는
아이들 지키려 동분서주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 톰 크루즈 주연의 새 영화 <우주전쟁>(7일 개봉)은 전쟁영화라기보다 재난영화에 가깝다. 영화가 시작되면 길게 이어지는 모건 프리먼의 내레이션은 이 거대한 지구가 외계인의 시선으로 보면 물 한 방울의 소우주처럼 작고 미미하게 보일 수 있다는 전제를 알린다. 수백만년의 진화를 거쳐 뛰어난 지능을 가지게 된 인류라지만 그보다 훨씬 더 진화된 외계인이 봤을 때는 단세포의 미생물처럼 여길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이 탄생하기 이전 이미 땅 밑에 지구를 파괴할 수 있는 무기를 심어놓는 수준의 기술과 전략을 가진 외계인과 어떻게 대적할 것인가. 그저 도망치다가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수밖에.

뉴욕의 항만노동자 레이(톰 크루즈)는 이혼한 전 부인이 여행을 하러 가면서 맡긴 두 아이를 잠시 돌보게 된다. 사춘기인 아들 로비와 어린 딸 레이첼(다코타 패닝)이 레이와 지내며 실랑이를 벌이는 잠시의 시간은 레이가 얼마나 게으르고 무기력한 인간인지, 왜 이혼을 당했는지 충분히 짐작케 한다. 영웅으로 등장하든, 악인으로 등장하든 강한 후광을 내뿜던 톰 크루즈가 별볼일없는 소시민으로 등장하는 건 외계인의 출현만큼이나 낯설고 흥미롭다.

어느날 천둥을 동반하지 않은 번개가 쏟아지더니 운석이 떨어진 듯 움푹 패인 도로 바닥에서 엄청난 물체가 돌출한다. 오징어 모양의 거대한 우주선은 구경거리를 찾아 모인 사람들을 무차별적으로 공격해 산산조각내고 이 공격은 뉴욕 뿐 아니라 전세계에서 일어난다.

대충 이쯤 되면 전세계의 재난 뉴스와 백악관에서 열리는 긴급대책회의가 차례로 화면을 채울 것으로 예상되지만 <우주전쟁>은 이처럼 상투적인 수법으로 가지는 않는다. 영화의 시선은 뛰어난 지략이나 공명심은커녕 능력이라고 해봐야 자동차 정비기술 정도를 가지고 있으며 오로지 가족의 살 길만 챙기는 레이를 따라 움직인다. 군인과 탱크가 등장하기는 하지만 이들이 역할을 하는 건 아수라장이 된 사람들의 무리를 교통정리시키는 일뿐이다. 레이는 여느 에스에프 액션영화의 영웅과 거리가 멀지만 철없는 사춘기 소년과 공포에 질린 어린 소녀, 딱 둘을 지키느라 분투하는 그의 모습은 평범한 가장들에게 지구를 구하는 영웅보다 훨씬 더 실감나게 다가올 법하다.

<우주전쟁>은 기승전결의 드라마를 보여주지 않는다. 영화의 시작과 거의 동시에 시작되는 거대한 외계인의 공격은 마지막 부분까지 계속 이어진다. 처음에는 광선으로 사람들을 산산조각내던 외계인의 우주선은 한 사람 한 사람씩 납치해 연료창고 같은 곳에 이들을 가두고는 피를 뽑아 에너지를 공급한다. 흡혈 외계인이라거나 이들이 배출하는 핏빛 분비물, 우르르 몰려다니며 비명을 지르는 사람들은 스필버그가 <이티(E.T)>에서 보여줬던 것과 정반대로 비(B)급 공포영화의 악취미적 분위기까지 풍긴다. 그러나 이런 분위기나 외계인의 습격으로 순식간에 파괴되는 도시 등은 사소한 볼거리이며 이야기의 큰 줄기는 위기를 통해 복원되는 가족의 이야기다. 빵점짜리 아빠였던 레이는 두 아이를 지키기 위해 싸우면서 아버지로서 권위와 존경을 찾게 된다. 가족의 가치를 확인하기 위해 이 모든 소동을 벌였다고 생각하면 허탈하기도 하지만 그래도 스필버그의 전작들에 비해 이 영화에서 가족이라는 단어가 주는 뉘앙스는 덜 작위적으로 느껴진다.

김은형 기자 dmsgud@hani.co.kr 사진 유아피코리아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