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성 논란…문화부, 법인화 추진 뜻 밝혀
한국영화인총연합회와의 갈등에 진통 예상
한국영화인총연합회와의 갈등에 진통 예상
# “지원이 합당한가? 대종상 이미지도 상당히 추락했다.”
지난달 7일 안양시의회 예결산특별위원회에서 한 시의원이 던진 발언은 영화인들로선 사실 수모에 가까웠다. 국내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대종상영화제 사무국은 올해 시상식에 앞서 경기도 안양에서 3일간 영화축제를 열기로 하고 시예산 2억원을 받기로 했다. 그러나 시의회는 ‘시 홍보효과’도 없다며 예산을 전액 삭감했다.
# “대종상 아직도 있나요?”
지난 17일 열린 48회 대종상영화제 시상식에서 미술상을 받은 영화 <조선명탐정 각시투구꽃의 비밀>을 제작한 김조광수 청년필름 대표는 트위터에 이런 짤막한 물음을 남겼다. 대종상이 영화인 전체의 축제가 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올해로 48회째를 맞은 대종상영화제가 갈수록 권위를 잃어가면서 대수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강하게 나오고 있다. 영화제 주최를 독점하며 심사 공정성 시비 등을 낳았던 원로·보수 영화인 중심의 ‘한국영화인총연합회’에서 행사를 떼어내 독립 운영하는 ‘법인화’가 대안으로 거론된다.
영화진흥위원회를 통해 대종상영화제에 국고를 보조해온 문화체육관광부 쪽은 19일 “상의 권위 회복을 위한 첫걸음으로 독립 법인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화부 관계자는 “영화인들과 논의를 거쳐 한쪽(조직)에 치우치지 않도록 법인을 구성해야 권위와 객관성이 있지 않겠느냐”고도 했다. 지난해까지 영화제 집행위원회를 독식한 ‘한국영화인총연합회’ 소속 원로 영화인들의 독점권을 배제하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이다.
영화계에선 불투명한 회계 처리 등으로 잡음을 일으켰던 정인엽 한국영화인총연합회 회장 등 원로들이 영화제 집행위원장 공모 등으로 ‘열려 있는 법인 구성’에 동참해야 한다는 목소리들이 많다. 한 영화 제작사 이사는 “상이 원로 영화인들 자존심을 지키는 보루처럼 되면 가장 오래된 영화시상식이란 의미만 남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나 정인엽 회장은 지난해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집행위원장을 자신이 맡아야 한다고 밝혀 법인화 논의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그는 “법인화에 동의하지만, 내년 출범이 어려울 수 있다”며 “회장 임기가 내년까지다. 한국영화인총연합회 정관에 회장이 대종상영화제 집행위원장을 겸하도록 돼 있다”고 말했다.
올해 대종상은 일반인 심사위원단과 한국영화인총연합회와 무관한 전문 심사위원단을 꾸려 심사의 공정성을 기했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논란은 여전히 끊이지 않았다. 지난 12일 남녀주연·조연상 후보를 6명씩 발표했다가 시상식 당일 각 부문 후보를 5명으로 수정하는 등 운영상의 미숙함을 드러냈다. 부동산개발업체 회장(조직위원장) 등 비영화인에게 영화제 요직을 안긴 것도 입길에 올랐다. 영진위는 영화제 집행위원회에 외부 인사 일부를 참가시키는 조건 등을 확답받은 뒤에야 2억원을 지원했다. 영화인들의 공감 없이 충남 홍성에서 치른 영화제 개막식(지난 2일)은 배우들의 참가가 뜸한 지역행사가 되고 말았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올해 대종상은 일반인 심사위원단과 한국영화인총연합회와 무관한 전문 심사위원단을 꾸려 심사의 공정성을 기했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논란은 여전히 끊이지 않았다. 지난 12일 남녀주연·조연상 후보를 6명씩 발표했다가 시상식 당일 각 부문 후보를 5명으로 수정하는 등 운영상의 미숙함을 드러냈다. 부동산개발업체 회장(조직위원장) 등 비영화인에게 영화제 요직을 안긴 것도 입길에 올랐다. 영진위는 영화제 집행위원회에 외부 인사 일부를 참가시키는 조건 등을 확답받은 뒤에야 2억원을 지원했다. 영화인들의 공감 없이 충남 홍성에서 치른 영화제 개막식(지난 2일)은 배우들의 참가가 뜸한 지역행사가 되고 말았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