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도연, 송혜교, 권상우, 송강호(왼쪽부터)
올해 스타배우들 흥행 고전
송강호·하지원·전도연 참패스토리 탄탄 ‘완득이’ 성공
“스타가 더이상 안전판 못돼”
송강호·하지원·전도연 참패스토리 탄탄 ‘완득이’ 성공
“스타가 더이상 안전판 못돼”
올해 배우 송강호, 전도연, 황정민 등이 출연한 영화를 묻는다면, ‘글쎄 뭐였지’ 하며 고개를 갸웃하는 이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심은경의 <써니>, 공유의 <도가니>, 유아인의 <완득이> 등 신진 배우들 작품보다 흥행성과 화제성에서 한참 떨어진 탓이다. 충무로에선 “스타들의 영화 성적이 이렇게 부진했던 한해도 드물다”고 말한다.
출연료 6억원대의 송강호, 전도연은 100만 관객도 넘기지 못했다. 송강호가 신세경과 조합을 이뤄 ‘중년 남성-20대 여성’의 묘한 감정을 연기한 <푸른소금>은 77만명에 그쳤다. 최소 200만명을 모아야 본전을 뽑는 영화였다.
주연배우(전도연·정재영) 출연료만 12억원대를 쓴 것으로 알려진 <카운트다운>은 47만명만 보고 내려 손익분기점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배우와 스태프가 ‘노개런티’로 작업한 뒤, 영화수익이 나면 배분받는 방식으로 찍은 순제작비 2억원의 <풍산개>(71만명)보다 성적이 나빴다.
100억원대 입체영화(3D) 블록버스터 <7광구>는 스토리가 부실하단 혹평 속에 224만명에 머물러, 손익분기점 안정선(400만명)에 한참 못 미쳤다. 몸값이 4억원대 이상 높아진 하지원은 오토바이 면허증까지 따며 <7광구>에서 액션을 선보였지만 아쉬움을 삼켰다.
황정민이 정부를 움직이는 조직을 쫓는 사회부 기자 역을 맡은 <모비딕>은 평단에서 비교적 좋은 평가를 받은 작품이었으나, 당시 <써니>에 관객이 쏠리면서 43만명으로 고전했다.
흥행을 걱정하는 주연 여배우 정려원에게 “오빠는 망해도 (기본) 100만명”이라며 다독였던 권상우의 격려는 빛이 바랬다. 둘이 주연한 <통증>은 ‘신파 멜로’ 평가 속에 70만명에 머물렀다. <과속스캔들>(820만) 등에서 흥행력을 보인 차태현의 주연작 <챔프>도 관객보다 먼저 우는 영화란 의견 속에 53만명만 불러모았다.
이밖에 송혜교의 <오늘>은 다른 영화와 교대로 상영하는 ‘교차상영’ 등의 홀대를 받으며 13만명 정도만 다녀갔고, 소지섭과 한효주의 <오직 그대만>은 올해 멜로와 로맨틱코미디가 고전한 상황에서도 102만명으로 선전했지만 손익분기점(120만)까지 이르진 못했다. 그나마 스타배우 중엔 <완득이>의 김윤석, <최종병기 활>의 박해일, <블라인드>의 김하늘이 흥행과 평단의 호평을 이끌며 제 몫을 해낸 정도다.
한 메이저 투자·배급사 관계자는 “사실 ‘이 영화가 크게 흥행할까’ 싶었던 <써니> <도가니> <완득이> <블라인드> <최종병기 활> 등이 성공한 것은 의외였다”며 “경제가 어렵고 사회상황이 어수선하다보니, 스타를 내세운 스케일 큰 작품보다 스토리가 탄탄하면서, 웃음·감동·추억을 잘 버무려 다양한 이야깃거리를 제공한 작품, 사회적인 문제를 풀어낸 영화들이 선전한 한해였다”고 평했다.
안시환 영화평론가는 “투자자 입장에선 스타가 (손실을 막는) 안전판이라고 여겨 여전히 배우의 지명도를 우선시하지만, 시나리오 완성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수준으로 안목을 높일 때가 됐다”고 말했다. “공유, 유아인, 이제훈 등 충무로에선 신인급 배우들이 성장하고 영화에서 가능성을 보여준 것은 성과”(정지훈 영화평론가)라는 평가도 나온다. 영화계에선 22일 개봉하는 <마이웨이>(감독 강제규)의 주연배우 장동건이 스타배우들의 전반적인 부진을 씻을 올해 ‘마지막 카드’란 기대가 많다. 2차 대전 당시 일본군, 소련군, 독일군으로 군복을 바꿔입으며 노르망디 전투까지 참전한 조선 청년의 대장정을 다룬 <마이 웨이>는 300억원대 대작. ‘1000만 관객’은 불러야 한다는 부담이 쏠린 작품이다. 장동건으로선 지난해 12월 개봉한 <워리어스 웨이>의 참패(43만명)도 만회해야 한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MB표 종편 동시 개국…여론·민주주의 대재앙 시작됐다
■ 안철수연구소 ‘사회공헌팀’ 만든다
■ ‘벤츠 여검사’ 의혹 규명, 특임검사에 맡겨
■ 법륜 “더이상 안철수 멘토라 부르지말라”
■ “왕도 정년제가 필요해”
영화 ‘7광구’에 출연한 하지원(위 사진). 영화 ‘모비딕’에 출연한 황정민(아래).
주요 스타배우 주연작 관객성적
안시환 영화평론가는 “투자자 입장에선 스타가 (손실을 막는) 안전판이라고 여겨 여전히 배우의 지명도를 우선시하지만, 시나리오 완성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수준으로 안목을 높일 때가 됐다”고 말했다. “공유, 유아인, 이제훈 등 충무로에선 신인급 배우들이 성장하고 영화에서 가능성을 보여준 것은 성과”(정지훈 영화평론가)라는 평가도 나온다. 영화계에선 22일 개봉하는 <마이웨이>(감독 강제규)의 주연배우 장동건이 스타배우들의 전반적인 부진을 씻을 올해 ‘마지막 카드’란 기대가 많다. 2차 대전 당시 일본군, 소련군, 독일군으로 군복을 바꿔입으며 노르망디 전투까지 참전한 조선 청년의 대장정을 다룬 <마이 웨이>는 300억원대 대작. ‘1000만 관객’은 불러야 한다는 부담이 쏠린 작품이다. 장동건으로선 지난해 12월 개봉한 <워리어스 웨이>의 참패(43만명)도 만회해야 한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MB표 종편 동시 개국…여론·민주주의 대재앙 시작됐다
■ 안철수연구소 ‘사회공헌팀’ 만든다
■ ‘벤츠 여검사’ 의혹 규명, 특임검사에 맡겨
■ 법륜 “더이상 안철수 멘토라 부르지말라”
■ “왕도 정년제가 필요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