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오 마이갓” 메릴 스트립
29년 만에 다시 ‘오스카’

등록 2012-02-27 16:34수정 2012-02-27 21:37

‘철의 여인’으로 2번째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수상
1983년. 시상식 무대로 나오다, 수상소감을 적은 종이까지 바닥에 떨어뜨린 메릴 스트립의 첫 마디는 “오, 보이!(Oh, boy·오, 이런)”였다. 영화 <소피의 선택>으로 34살에 55회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처음 받는 자리였다.

2012년. 29년 전 시상식 때와 같은 색상(노란색)의 원피스를 입고, 그가 뱉은 수상소감 첫 마디도 “오, 마이갓!(오, 세상에)”이었다. 주름진 63살 나이에, <철의 여인>으로 다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탄 것에 감격한 듯 그는 벅찬 호흡으로 말을 이었다. “제 이름을 불렀을 때, 미국인 절반이 ‘이럴 수가, 다시 그녀라니’라고 생각하는 것처럼 느껴졌다.” 그러곤 “마지막에 얘기하면 (시상식) 음악에 묻힐 수 있다”며 네 명의 자녀를 함께 키우는 조각가 남편 던 검머를 가장 먼저 부르며 “감사하다”면서 눈물을 글썽였다.

27일(한국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코닥극장에서 열린 84회 아카데미 시상식. 메릴 스트립은 <헬프>의 비올라 데이비스, <밀레니엄 : 여자를 증오한 남자들>의 루니 마라 등의 후보들을 제치고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그는 아카데미 역사상 최다인 17차례 후보(여우주연 후보 14회·조연상 후보 3회)에 오른 신기록도 남겼다. 아카데미 수상은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1980·여우조연상), <소피의 선택>(여우주연상)에 이어 세 번째. 그는 남녀 배우를 통틀어 캐서린 햅번(사망·여우주연상 4회)에 이어 아카데미 역사상 두 번째 최다수상자가 됐다. 앞서 그는 <철의 여인>으로 베를린국제영화제 명예금곰상, 미국 골든글러브 여우주연상(드라마부문) 등을 받았다.

메릴 스트립은 <철의 여인>(한국 23일 개봉)에서 영국 최초의 여성 총리였던 마거릿 대처의 단단함과 노년의 대처가 지닌 쓸쓸함을 담아냈다. 필리다 로이드 감독은 “그는 촬영 현장에 있는 사람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에너지가 넘쳤다”며 연기 열정을 칭찬했다.

미국 민주당 지지자인 그가 영국 보수당 출신의 대처를 연기한 것에 대해 논란이 일자 메릴 스트립은 “정치적 결정 때문에 인간으로서 치러야 했던 대가와, 그 개인에 지워진 부담을 한 인간이 어떻게 받아들였는지에 대한 호기심이 날 이끌었다”며 이해를 구하기도 했다.

미국 예일대 드라마스쿨 석사 출신인 그는 연극 무대를 거쳐 영화로 영역을 넓혔다. 섹시미인 스타일에서 벗어난 메릴 스트립은 외모 탓에 영화 오디션 낙방도 수차례 겪었지만, <아웃오브아프리카> <맘마미아>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등 수많은 작품에서 다양한 여인을 자신의 얼굴에 담아냈다. 어떤 이라면, 콤플렉스로 여길 법한 긴 코에 대해서도 “좋은 감독과 시나리오의 향을 고를 수 있는 길고도 좋은 코를 주어 감사하다”고 맞받아치는 재기를 갖춘 배우였다.

도태된 무성영화 스타와 유성영화 시대 스타로 떠오른 신인 여배우와의 사랑을 그린 <아티스트>는 작품상·감독상·남우주연상·의상상·작곡상 등 5관왕을 쓸어담았다. <비기너스>의 크리스토퍼 플러머(82)는 남우조연상을 수상하며 역대 아카데미 최고령 수상자가 됐다. 11개 부문 후보에 오른 <휴고>는 촬영상·음향상 등 5관왕을 차지했다. 외국어영화상은 아쉬가르 파르하디 감독의 이란영화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에 돌아갔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말 한마디로 오스카!
남우주연상 장 뒤자르댕

그의 대사라곤 영화 마지막에 나오는 “위드 플레저(With pleasure:기꺼이)!”, 딱 한마디였다. 1930년대 전후 시대를 배경으로 한 흑백 무성영화 <아티스트>는 영화 막판에 배우들의 음성을 짧게 들려준다. 프랑스 코미디배우 출신 장 뒤자르댕(40)은 이 한마디 대사로, <디센던트>의 조지 클루니, <머니볼>의 브래트 피트 등 할리우드 미남 후보들을 눌렀다.

장 뒤자르댕은 이날 아카데미시상식에서 “(영화에서 내가 맡은 무성영화 배우) 조지가 지금 말을 한다면, ‘생큐, 생큐’(고맙습니다)”라고 했을 거라면서, 영화 마지막 장면처럼 탭댄스를 추며 좋아했다. 그는 흑백 무성영화 <아티스트>로 생애 첫 아카데미시상식 후보에 올라 주연상까지 거머쥐었다.

그는 <아티스트>에서 무성영화의 남자 스타 배우였으나, 유성영화의 출현을 받아들이지 못한 채 몰락했다가 자신을 흠모하는 여배우와의 사랑을 통해 새로운 변화에 발 맞춰나가는 ‘조지’를 연기했다. 표정과 몸짓만으로 대사보다 더 강렬하게 감정을 전한 그는 지난해 프랑스 칸국제영화제, 올해 영국아카데미시상식·미국 골든글로브 뮤지컬코미디부문 등의 남우주연상을 휩쓸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