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그리버드
경찰청 홍보대사 임명에 반발
최근 경찰청이 외국 게임 ‘앵그리버드’를 학교폭력 근절 예방홍보 캐릭터로 선정한 것을 두고 국내 애니메이션계가 반발하고 나섰다. 국내 캐릭터를 두고 굳이 외국 게임 캐릭터를 택한 것을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한국영화애니메이션감독·프로듀서(PD)협회 준비위원회, 한국독립애니메이션협회, 우리만화연대, 한국애니메이션학회 등 4대 단체는 29일 성명서를 내어 “앵그리버드 위촉을 철회하고, 경찰청은 애니메이션·게임 단체와 논의를 통해 합리적이고 적절한 캐릭터를 선정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한국은 게임·애니메이션 등에서 다양하고 좋은 캐릭터를 보유하고 있는데도, 공공기관 경찰청이 외국 캐릭터를 이용하는 것은 국민 정서에 반감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비판했다. 또 “앵그리버드는 자신의 알을 훔쳐간 돼지에게 몹시 화가 나서 (새총에 몸을 직접 실어) 돼지에게 몸을 던져 보복하는 캐릭터”라며 “앵그리버드 캐릭터의 세계관이 폭력 근절에도 적합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경찰청은 지난 21일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은 스마트폰 게임 ‘앵그리버드’를 만든 핀란드 업체 로비오엔터테인먼트와 캐릭터 무료 활용에 대한 협약식을 연 바 있다. 당시 경찰청은 학교폭력 예방에 캐릭터를 적극 활용할 예정이라고 홍보했다.
<마당을 나온 암탉> 연출자인 오성윤 감독(한국애니메이션감독·프로듀서협회 준비위원회 공동위원장)은 “‘뽀로로’, 로봇카 ‘폴리’ 등 인기 국내 캐릭터들도 많다. 정부가 애니메이션·캐릭터 등의 진흥책을 누누이 얘기하면서, 학교폭력 방지라는 공익활동에 외국 게임 캐릭터를 선정한 건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오 감독은 “정부가 국내 게임은 학교폭력의 온상처럼 여겨 각종 규제를 하면서, 외국 게임을 캐릭터로 이용하는 것은 이중적인 태도”라며 “앵그리버드가 취소되지 않으면 경찰청 앞에서 1인시위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경찰청 쪽은 “앵그리버드를 학교폭력신고 전화번호 ‘117’을 알리는 배너광고에만 활용할 생각이다. 앞으로 애니메이션 관계자 등과 만나 국내 작품 캐릭터를 홍보대사로 위촉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자위대’ 기념식이 발단…나경원 청탁사건 전말은?
■ ‘경찰이 휴대전화로 실시간 위치추적’…송경동 시인 헌법소원 제기
■ 민주, 3차 공천도 현역의원 탈락 1명도 없었다
■ 청동기 시대 ‘아이스맨’ 왜 죽었을까?
■ 우즈, 네이비실 입대하려 했다고?
<한겨레 인기기사>
■ ‘자위대’ 기념식이 발단…나경원 청탁사건 전말은?
■ ‘경찰이 휴대전화로 실시간 위치추적’…송경동 시인 헌법소원 제기
■ 민주, 3차 공천도 현역의원 탈락 1명도 없었다
■ 청동기 시대 ‘아이스맨’ 왜 죽었을까?
■ 우즈, 네이비실 입대하려 했다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