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스크린 도배맨’ 씁쓸한 독주

등록 2012-07-02 18:42수정 2012-07-03 09:56

상영관 절반 스파이더맨 쏠려
4일만에 170만명 ‘흥행몰이’
‘두개의 문’은 수요 있어도 외면
 “무섭네요!”

 ‘스파이더맨’이 한국 스크린을 집어삼키는 기세 앞에서 국내 영화계 한 관계자는 허탈한 웃음을 지었다.

 지난 28일 개봉한 미국 할리우드 오락영화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이 전국 스크린 절반 넘게 도배하며 개봉 나흘 만인 1일까지 170만명을 모았다. 지난 토요일에만 62만8000여명, 일요일에 50만8000여명 등 주말에 114만여명을 동원했다. 올해 국내 흥행 1위 <어벤져스>(706만명)의 개봉 4일째 관객 수(163만명)보다 많다.

 이 영화를 배급하는 소니픽쳐스 신동혁 이사는 2일 “아이·어른 아우르는 팬층을 가진 영웅 캐릭터이고, 이전 시리즈와 다른 배우가 주연을 맡는 등 새로운 스파이더맨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 같다”고 말했다. 영화는 고아 청년(앤드루 가필드)이 죽은 아버지의 비밀을 찾는 과정에서 스파이더맨이 돼 악당과 맞서는 이야기다.

 스크린 싹쓸이도 <스파이더맨>의 흥행속도를 가속시키고 있다. 이 영화는 지난 30일 전국 1974개(2011년 기준) 스크린 중 56%인 1114개관, 1일엔 1102개관에서 상영됐다. 매년 할리우드 액션 블록버스터 개봉 때 되풀이되는 스크린 독식이 재현된 것이다. 지난해 개봉한 할리우드 대작 <트랜스포머3>과 <미션임파서블4>도 개봉 첫 주 각각 1409개, 1038개 상영관을 휩쓸었다.

 한 복합상영관 쪽은 “관객들이 많이 보고 싶어하고 수익성이 높은 영화에 좋은 시간대와 많은 스크린을 내주는 시장논리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다른 복합상영관 관계자는 “한국영화 <내 아내의 모든 것> <후궁 : 제왕의 첩>은 이미 많은 관객들이 봤고, 최근 개봉한 <미쓰고> <아부의 왕>은 관객 관심이 높지 않아 <스파이더맨>에 스크린이 쏠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내 영화계 관계자들은 한 영화에 스크린 절반 이상 몰아주는 건 지나치다고 지적한다. <스파이더맨>의 1일 전국 좌석점유율은 41.7%, 서울 좌석점유율은 50.3%였다. 이날 1102개 상영관의 전체 좌석(122만3811석) 중 전국 평균 절반 가까이만 찼다는 의미다. 이 영화를 보려는 관객 규모를 넘어 상영하는 ‘스크린 과포화’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상영 중인 한 국내 영화의 마케팅 담당자는 “주말 좌석점유율이 30%대여도 높다고 보기 때문에 40~50%라면 높은 수치”라면서도 “다른 영화에 스크린을 좀더 내주어도 <스파이더맨>의 관객층을 수용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스파이더맨> 공세 틈에서, 상영관이 전국 23개관에 불과한 국내 다큐멘터리 영화 <두 개의 문>은 개봉 11일째인 1일까지 1만5665명을 모으며 독립영화 흥행선인 1만명을 넘어 흥행행진을 하고 있다. 하지만 용산참사를 다룬 이 영화는 2일 씨지브이(CGV) 상암 ‘무비꼴라쥬’관(108석)에서 밤 9시50분 1회차만 상영되는 등 복합상영관의 높은 문턱을 실감하게 하고 있다. 하루 3~4회차씩 <두 개의 문>을 상영하는 서울 광화문 ‘인디스페이스’의 이현희 프로그래머는 “<두 개의 문>을 보고 싶어도 자기 지역에 상영관이 없거나, 씨지브이 (다양성영화전용관인) 무비꼴라쥬관에선 오전 일찍 또는 밤 늦게 상영하니까 관객들이 보기 힘든 상황”이라며 아쉬워했다. 그는 “이 영화를 보고 싶어하는 관객들의 요구와 관객층 수요가 있는데도 복합상영관이 스크린을 좀더 열어주지 않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관련영상: [엔딩크레디트 세줄밑] <두개의 문> 배급위원 834명은 누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