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영화 ‘괴물’ 시작하는 송강호

등록 2005-08-01 16:49수정 2005-08-01 16:51

“한강 괴물의 실체 궁금하시죠”
배우 송강호(38)의 머리색이 노래졌다. 그것도 중간부터 끝까지만 노랗다. “동네 미장원에서 염색하고 관리 안 하는 스타일” 콘셉트다. “사자 목소리를 연기하라고 해서 <라이온 킹>을 생각하고 갔는데 역시나 이건… 쩝”이었던 애니메이션 <마다가스카> 더빙 외출을 다녀온 뒤 6월 말부터 촬영을 시작한 <괴물>의 주인공 강두를 연기하기 위해 머리 염색을 했다. 최대한 “촌스러운 때깔”을 만들기 위해 여러번 색을 바꿔 만든 머리다. 본격적인 촬영을 코 앞에 둔 아직까지는 카메라 앞에 설 일도 몇번 없었지만 “달리 할 일이 없어서” 매일 촬영장을 나가는 것이 그의 요즘 일과다. 얼마 전에는 <한겨레> 영화 담당기자도 모르게 <한겨레> 발전기금 500만원을 내기도 했다.

괴물에 딸 빼앗긴 강변 매점아저씨 ‘강두’ 로
100억 넘는 대작에 책임감 “진짜 잘 해야죠”

“강두는 철없고 단순하고 그래서 또 치열하게 싸울 수 있는 인물이예요. ‘사고쳐서 애 낳고 사고쳐서 애 잃었다’는 강두의 대사가 있는데 좀 바보같기도 하고 사회에 안 어울리는 사람이죠.” <괴물>은 한강변에서 매점을 운영하던 강두가 한강에 나타난 괴물에게 딸을 빼앗기자 딸을 되찾기 위해 온 가족과 함께 싸우는, 제작비가 100억원을 넘어가는 대작 영화다. <살인의 추억>의 봉준호 감독이 연출을 맡고 같은 영화에 출연했던 배우 변희봉, 박해일, <복수는 나의 것>을 함께 했던 배두나와 가족으로 호흡을 맞추니 그에게나 감독에게나 더없이 든든한 인력구성이다.

“아직 본격적인 연기를 시작하지 않았기 때문에 뭐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지만 한가지 확실한 건 매일 한강을 건너는 관객들도 ‘한강이 이렇게 생겼나’ ‘한강에 이런 곳이 있구나’ 놀랄만한 비주얼을 보여줄 거 같아요. 촬영 초반에는 주로 한강 자체를 찍는 장면들이 많았는데 그림이 기가 막히더라구요.” 철저히 비밀에 붙여진 괴물의 실체에 대해 송씨가 주는 작은 팁. <우주전쟁>의 오징어 스타일도, 고질라 스타일도 아닌 ‘변형된 물고기’가 연상되는 모양이란다. 그 크기도 고질라나 킹콩에 비하면 아담 사이즈에 가깝다고.

촬영장 출근 말고 유일한 일과는 매일 분당 집 앞의 공원을 뛰는 것이다. <남극일기> 흥행부진의 스트레스로 6㎏ 이상 쪘던 살을 빼고 있는데 본래 체중으로 돌아오려면 아직 2㎏ 정도 더 빼야한다고 한다. 그래도 얼마 전 강우석 감독과 마찰을 빚으며 최민식과 공동기자회견을 했을 때보다 얼굴이 훨씬 좋아졌다는 말을 건네자 “그때야 거의 잠도 못자고 나갔던 상황이니까요”라며 운을 뗀다. “득보다는 실이 많을 걸 예상했고 결과적으로도 좋은 소리 별로 듣지 못했죠. 그렇긴 하지만 전체 이야기의 차, 포 다 떼고 ‘내 개런티는 내가 결정한다’ ‘5억원이 뭐가 많은 액수냐’ 이런 자극적인 말만 편집돼 방송에 나오는 걸 보니 기분이 착잡하더라구요. 참, 뭐, 하여튼… 히히힛.” 아직 마음 속에 많이 쌓여있는 듯한 말과 서운함을 예의 낄낄 웃음으로 슬쩍 덮어둔다.

올 초 <괴물> 계약서에 싸인할 때 그는 5억여원의 개런티를 90% 이상 투자형식으로 계약했다. “일단 100억원 이상 돈이 들어가는 영화니까 부담을 좀 줄여주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고, 무엇보다 내 작품이다라는 자부심이나 책임감을 좀 더 갖고 싶었어요. 소액투자자인 셈인데 나한테 이익이 돌아오려면 500만명 가까이 관객이 들어야 하니까, 진짜 잘 해야 하는 거죠.”

스스로를 “진보주의자나 대단한 신념을 가진 사람이 아니라, 생각할 수 있고 상식이 통하는 사회를 바라는 정도”라고 말하는 그는 <한겨레> 발전기금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다. “국민주 신문이 자리잡은 것 자체가 우리 사회의 발전한 모습을 보여주는 거라고 생각해요. 17년동안 이룬 것도 많고, 아쉬운 점도 있는 시점에서 창간 정신으로 재정비한다는 게 바람직해 보였습니다. 난 좀 더 내고 싶었는데, 아내가 말이죠… 히힛.” 진지한 이야기에서 다시 슬쩍 빠져나와 낄낄 웃음의 제 자리로 돌아갔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