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드 나잇 인 파리
5일 개봉 이후 28만여명 관람
국내 영화계 지인들도 영화 수입을 많이 만류했다고 한다. “우디 앨런 (77) 감독의 작품은 인문학적 성향과 철학적 주제를 품고 있다는 인식이 있어 상업적이지 못하다”는 걱정들이었다. <미드나잇 인 파리> 제작진조차 영화를 판매하며, “한국에서 100개관 이상 개봉할 생각이라는데, 정말 자신 있느냐?”고 물었다고 한다.
지난 2월 독일 베를린영화제에서 이 영화를 수입한 박병국 더블앤조이픽쳐스 대표는 제작진에게 이렇게 답했다고 떠올렸다. “이 시대 거장인 우디 앨런 감독의 작품을 우리가 앞으로 몇번 더 접할 수 있을지 모른다. 좋은 영화를 많은 관객에게 보여주는 게 나 같은 사람의 의무 아니겠느냐.” 이 영화는 “내용이 어렵지 않고, 관객들과 소통하려는 감독의 의지”가 느껴졌기 때문이기도 했다.
그의 생각대로, 5일 개봉한 <미드나잇 인 파리>는 여름 블록버스터 경쟁 틈에서 ‘작은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10만명을 넘기기 어려울 것이란 예상을 깨고, 24일까지 28만여명을 모았다. 국내 개봉한 그의 작품 중 가장 흥행한 <매치포인트>(2006년·12만8958명)의 관객 수를 뛰어넘었다. 예술영화전용관인 서울 씨네큐브 쪽은 “주말엔 매진되고 있고, 평일 주요 시간대도 좌석이 거의 들어찬다”고 전했다.
영화는 약혼녀와 프랑스 파리로 여행을 온 작가 ‘길’(오언 윌슨)이 1920년대로 시간여행을 하며 소설가 어니스트 헤밍웨이, 화가 파블로 피카소 등을 만나고, 예술인들이 사랑한 여인 ‘아드리아나’(마리옹 코티야르)와 로맨스를 펼치는 판타지를 담고 있다. 현재 전국 90개관 남짓에서 상영 중이다. 관객들은 “파리의 거리를 걷고 싶어졌다”거나, “유쾌한 상상을 주는 동화 같은 판타지”란 반응을 보인다. 박병국 대표는 “아무리 힘들어도, 삶의 황금시대는 ‘지금’이라는 메시지에도 공감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올해 미국 아카데미와 골든글러브 각본상 수상작이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사진 더블앤조이픽쳐스 제공
<한겨레 인기기사>
■ “안철수, 망가지는 것은 두렵지 않다 말해”
■ ‘박근혜 대세론’과 ‘안철수 현상’…절박한 민주당 끝장난 것인가
■ 성폭행범에 ‘10년간 나이트클럽 금지’
■ 우리 아이 변비, 무심코 방치했다간 ‘성장 부진’
■ [화보] ‘생각에 빠진’ 의원님들, 설마 자는 건 아니겠지?
미드 나잇 인 파리
미드 나잇 인 파리
미드 나잇 인 파리
■ “안철수, 망가지는 것은 두렵지 않다 말해”
■ ‘박근혜 대세론’과 ‘안철수 현상’…절박한 민주당 끝장난 것인가
■ 성폭행범에 ‘10년간 나이트클럽 금지’
■ 우리 아이 변비, 무심코 방치했다간 ‘성장 부진’
■ [화보] ‘생각에 빠진’ 의원님들, 설마 자는 건 아니겠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