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에 집착하는 최연기, 딱 내 모습”-‘박수칠 때 떠나라’ 차승원 인터뷰
“일에 집착하는 최연기, 딱 내 모습”
“1형식 문장으로만 말해!”
<박수칠 때 떠나라>에서 차승원, 아니 최연기 검사는 이렇게 말했다. 긴 얘기 귀찮고 필요없으니 목적어, 보어 다 빼고 주어, 동사만 가지고 살인을 했는지 안 했는지만 불라는 얘기다. 그렇게 자신만만한 말투로, 더없이 고압적인 자세로 유력한 살인 용의자 김영훈(신하균)을 심문했지만 최연기의 눈빛에서는 강박과 조급함, 짜증과 불안이 읽혔다.
강박증 시달리는 검사 변신
“관객들 기대 휘둘리지 않고
솔직한 연기 보여주고 싶다 차승원은 2일 “지금까지 했던 역할 중에 최연기가 나랑 가장 잘 맞는 것 같다, 지극히 나다운 데가 많은 역할이었다”고 했다. “자신의 일에 집착을 많이 하고, 그게 잘 안 되니까 강압적으로 변하는 모습이 그렇다”는 것이다. 그 말을 듣고 보니 그렇다. 이날 하루만 벌써 다섯 차례 인터뷰를 했고 같은 질문을 수도 없이 받았을 테지만, 그는 어떤 질문에도 의례적으로 대답하는 법이 없다. “연기도, 인터뷰나 홍보도 나한테는 절실한 일이기 때문에 대충할 수 없다”는 고집이다. 그는 자신만만하게 때로는 고압적으로, 쉬운 대답을 피해 자신이 느끼고 생각하는대로 대꾸한다. 그렇다고 그 눈빛이 완전히 자아도취적이거나 뻣뻣하지는 않다. 영락없는 최연기다. 차승원은 “살면서 안 되는 부분을 못 참는 성격이고, 넋놓고 안 되는 걸 보고 있지도 못하는 성격”이라는 정도로 연기에 대한 욕심과 그 욕심을 채워나가는 자신의 성실함을 표현했다. 하지만 그의 필모그래피만 봐도 그의 ‘징글징글한’ 욕심과 성실함을 알 수 있다. 1990년대 내내 톱 모델이었던 그는, 텔레비전 쇼 프로그램에 얼굴을 내민 1990년대 후반부터 <장미와 콩나물> 같은 티브이 드라마의 주·조연급 연기자로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사람들이 그를 ‘고만고만한 탤런트’로 인식해갈 무렵, 그는 <홀리데이 인 서울> <세기말>등 여러 영화에 조·단역으로 얼굴을 내비치며 영화배우의 길을 닦았다. 그리고 2000년 <리베라 메>의 사이코 범죄자로 ‘영화배우 차승원’을 각인시켰고, 2001년부터 <신라의 달밤>부터 2004년 <귀신이 산다>까지 내리 다섯편의 코미디 영화를 찍었다. 그리고 이제 ‘대한민국 대표 코미디 배우’로 인정받게 되자, 그는 올 상반기 <혈의 누>의 냉철한 수사관으로 180도 변신해 또다른 연기를 펼쳐보였다. “관객들이 나한테 기대하는 게 분명히 있다. 하지만 관객들은 나의 이런 면만 있는 줄 아는 반면, 나한테는 다분히 저런 면도 있다. 기대나 인정 같은 건 전혀 부담스럽지 않고 좋다. 하지만 거기에 휘둘리지 않고 그때그때 내가 원하는 작품에서 솔직한 연기를 보여주고 싶다.” 마찬가지로, <박수…> 최 검사 역할을 선택한 이유도 “일단 시나리오가 재밌었고, 솔직하게 연기할 수 있을 거 같아서”였다. “배우가 진정으로 느끼면서 솔직하게 연기하면 관객들도 공감하고 박수친다”는 차승원. <박수…> 가운데 가장 솔직하게 연기한 장면을 물었다. “최연기가 ‘아무도 모르는’ 살인사건의 진실을 알게 된 뒤 눈물을 흘리는 마지막 장면”이란다. ‘연기를 떠나 상황 자체에 공감이 안 갔다’는 뜻을 넌지시 내비치자 “그럼 뭐 내 연기가 부족했나보지”하며 자기 탓을 한다. 하지만 말은 그렇게 해도, 지금껏 남들 눈치 안 보고 뚝심있게 자기 연기를 밀어부쳤듯 별로 괘념치 않는 눈치다. 그리고 연기 포부를 묻자, 별로 당연하지 않은 얘기를 너무 당연하다는 듯 직설적으로 내리꽂는다. “어떤 배우가 되느냐는 중요하지 않다. 어떤 사람이 되느냐가 중요하다. 도덕적으로나 어느 면으로나 잘 살아야 그게 연기의 살이 되고 자양분이 된다.” 차승원은 9월께부터 스스로 “생활은 없고 멜로만 있는 기존의 멜로 영화와는 다른, 생활이 있는 멜로영화”라고 밝힌 <국경의 남쪽>(제작 싸이더스) 촬영에 들어간다. 차승원과 티브이 드라마 <장미와 콩나물>을 찍었던 안판석 피디의 영화감독 데뷔작으로, 차승원은 탈북자 역할을 맡았다.
글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사진 강재훈 기자 khan@hani.co.kr
“관객들 기대 휘둘리지 않고
솔직한 연기 보여주고 싶다 차승원은 2일 “지금까지 했던 역할 중에 최연기가 나랑 가장 잘 맞는 것 같다, 지극히 나다운 데가 많은 역할이었다”고 했다. “자신의 일에 집착을 많이 하고, 그게 잘 안 되니까 강압적으로 변하는 모습이 그렇다”는 것이다. 그 말을 듣고 보니 그렇다. 이날 하루만 벌써 다섯 차례 인터뷰를 했고 같은 질문을 수도 없이 받았을 테지만, 그는 어떤 질문에도 의례적으로 대답하는 법이 없다. “연기도, 인터뷰나 홍보도 나한테는 절실한 일이기 때문에 대충할 수 없다”는 고집이다. 그는 자신만만하게 때로는 고압적으로, 쉬운 대답을 피해 자신이 느끼고 생각하는대로 대꾸한다. 그렇다고 그 눈빛이 완전히 자아도취적이거나 뻣뻣하지는 않다. 영락없는 최연기다. 차승원은 “살면서 안 되는 부분을 못 참는 성격이고, 넋놓고 안 되는 걸 보고 있지도 못하는 성격”이라는 정도로 연기에 대한 욕심과 그 욕심을 채워나가는 자신의 성실함을 표현했다. 하지만 그의 필모그래피만 봐도 그의 ‘징글징글한’ 욕심과 성실함을 알 수 있다. 1990년대 내내 톱 모델이었던 그는, 텔레비전 쇼 프로그램에 얼굴을 내민 1990년대 후반부터 <장미와 콩나물> 같은 티브이 드라마의 주·조연급 연기자로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사람들이 그를 ‘고만고만한 탤런트’로 인식해갈 무렵, 그는 <홀리데이 인 서울> <세기말>등 여러 영화에 조·단역으로 얼굴을 내비치며 영화배우의 길을 닦았다. 그리고 2000년 <리베라 메>의 사이코 범죄자로 ‘영화배우 차승원’을 각인시켰고, 2001년부터 <신라의 달밤>부터 2004년 <귀신이 산다>까지 내리 다섯편의 코미디 영화를 찍었다. 그리고 이제 ‘대한민국 대표 코미디 배우’로 인정받게 되자, 그는 올 상반기 <혈의 누>의 냉철한 수사관으로 180도 변신해 또다른 연기를 펼쳐보였다. “관객들이 나한테 기대하는 게 분명히 있다. 하지만 관객들은 나의 이런 면만 있는 줄 아는 반면, 나한테는 다분히 저런 면도 있다. 기대나 인정 같은 건 전혀 부담스럽지 않고 좋다. 하지만 거기에 휘둘리지 않고 그때그때 내가 원하는 작품에서 솔직한 연기를 보여주고 싶다.” 마찬가지로, <박수…> 최 검사 역할을 선택한 이유도 “일단 시나리오가 재밌었고, 솔직하게 연기할 수 있을 거 같아서”였다. “배우가 진정으로 느끼면서 솔직하게 연기하면 관객들도 공감하고 박수친다”는 차승원. <박수…> 가운데 가장 솔직하게 연기한 장면을 물었다. “최연기가 ‘아무도 모르는’ 살인사건의 진실을 알게 된 뒤 눈물을 흘리는 마지막 장면”이란다. ‘연기를 떠나 상황 자체에 공감이 안 갔다’는 뜻을 넌지시 내비치자 “그럼 뭐 내 연기가 부족했나보지”하며 자기 탓을 한다. 하지만 말은 그렇게 해도, 지금껏 남들 눈치 안 보고 뚝심있게 자기 연기를 밀어부쳤듯 별로 괘념치 않는 눈치다. 그리고 연기 포부를 묻자, 별로 당연하지 않은 얘기를 너무 당연하다는 듯 직설적으로 내리꽂는다. “어떤 배우가 되느냐는 중요하지 않다. 어떤 사람이 되느냐가 중요하다. 도덕적으로나 어느 면으로나 잘 살아야 그게 연기의 살이 되고 자양분이 된다.” 차승원은 9월께부터 스스로 “생활은 없고 멜로만 있는 기존의 멜로 영화와는 다른, 생활이 있는 멜로영화”라고 밝힌 <국경의 남쪽>(제작 싸이더스) 촬영에 들어간다. 차승원과 티브이 드라마 <장미와 콩나물>을 찍었던 안판석 피디의 영화감독 데뷔작으로, 차승원은 탈북자 역할을 맡았다.
글 전정윤 기자 ggum@hani.co.kr, 사진 강재훈 기자 khan@hani.co.kr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