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부드럽고 또렷한 영상미…비행땐 함께 날아오르는 듯

등록 2012-12-12 20:10

<호빗: 뜻밖의 여정>(호빗)
<호빗: 뜻밖의 여정>(호빗)
‘초고속프레임 3D’ 기술의 호빗
1초에 48개 연속 이미지로
골룸 얼굴의 구멍까지 선명
똑같은 동선을 2대 카메라로
‘슬레이브 모션 컨트롤’ 촬영
키 비슷한 배우 키 차이 커져
최근 일본 기자회견에서 만난 피터 잭슨 감독의 손은 ‘곰발바닥’처럼 두툼해 보였다. 그 투박한 손으로, 그는 자신의 신작 <호빗: 뜻밖의 여정>(호빗·사진)에서 정교한 촬영기술을 구사하며 영화 역사상 최고의 화질로 판타지 세계를 구현하는 데 도전했다. 그는 관객들에게 “(환상의 세계인) 중간계에 와 있는 듯하고, 그 세계를 실제로 보는 느낌을 주고 싶었다”고 한다.

그의 말대로 13일 개봉하는 <호빗>은 내 눈 앞의 사물을 직접 보는 듯한 선명한 화면을 펼쳐놓는다. 이 작품은 1초에 48개의 연속된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는 ‘초고속 프레임레이트(HFR) 입체영상(3D)’ 촬영기술을 개발해 찍은 첫 장편영화다. 1927년부터 85년간 영화 표준이었던 ‘24프레임’보다 1초당 관객이 볼 수 있는 이미지 개수를 2배 늘렸기 때문에, 사람의 움직임이 좀더 부드러워지고 사물의 이미지가 또렷해졌다.

입체영상 특유의 이미지 번짐 현상도 잡아내, 169분의 상영시간 동안 ‘3디 안경’을 끼고 있다는 약간의 거추장스러움만 있을 뿐 눈의 피로감이 거의 없다. 영화 속 ‘골룸’의 미세한 얼굴피부 구멍까지 화면에 드러난다. 생생한 화면과 입체영상의 깊이감까지 더해져, ‘난쟁이족 원정대원’들이 새의 등에 업혀 하늘을 날 때 관객도 허공을 비행하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호빗>은 평면영상(2D), 24프레임 입체영상(3D), 초고속프레임 입체영상(3D), 화면이 큰 ‘아이맥스 초고속프레임 입체영상’ 등 다양한 형태로 상영된다. 영상기술의 진보라 할 수 있는 ‘초고속프레임 3디’를 보려면 48프레임 영상을 틀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별도의 상영관을 찾아서 관람해야 한다. 롯데시네마 기술팀 강철응씨는 “잭슨 감독이 만든 48프레임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기계를 구입해 새로 교체하는 등 일부 극장의 영사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했다”고 말했다. 씨지브이는 전국 77개관, 롯데시네마는 67개관에서, 고화질과 입체감을 동시에 맛보는 ‘초고속프레임 3디’를 상영한다. 다만 ‘초고속프레임 3디’의 화면이 고화질 티브이(TV)를 보듯 선명해, 오히려 비현실 세계를 다루는 이 영화의 판타지 느낌을 다소 훼손시킨다고 받아들이는 관객도 있을 것 같다.

잭슨 감독은 이 영화에서 ‘슬레이브 모션 컨트롤’이란 촬영기법도 선보인다. 키가 비슷한 배우들이지만, 한 화면에 키 차이가 크게 나도록 담아내는 촬영기술이다. 워너브러더스코리아 쪽은 “1번 카메라는 일반 세트에서 난쟁이·호빗족을 연기하는 배우들을 촬영하고, 컴퓨터 통제에 의해 1번 카메라 앵글과 똑같은 동선으로 움직이는 2번 카메라가 (배우의 크기를 늘리는 등 컴퓨터 그래픽 작업이 가능한 녹색 배경세트인) 그린 스크린세트에서 난쟁이족들의 대사를 들으며 함께 연기하는 ‘간달프’를 동시에 촬영한 뒤, 두 세트에서 찍은 화면을 합성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객들은 이 영상마법 덕에, 호빗족인 주인공 ‘빌보 배긴스’와 ‘난쟁이족 원정대원들’, 키가 이들보다 곱절은 커 보이는 마법사 ‘간달프’가 한 화면에서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며 대화하는 장면들을 보게 된다.

피터 잭슨 감독은 “배우들의 크기를 다르게 보이게 하는 것이 골칫거리였는데, 슬레이브 모션 컨트롤 기술을 개발해 자연스럽게 촬영할 수 있었다. <반지의 제왕> 때는 불가능했던 기술이었다”고 밝혔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사진 워너브러더스코리아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