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일본인-한국인 경계에 다큐의 꽃이 피었습니다

등록 2005-08-14 17:15수정 2005-08-14 20:27

가수 강산에씨(왼쪽)와 겐 마사유키 감독이 함께 제천국제음악영화제가 열리고 있는 청풍호반을 찾았다.
가수 강산에씨(왼쪽)와 겐 마사유키 감독이 함께 제천국제음악영화제가 열리고 있는 청풍호반을 찾았다.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샤우트 오브 아시아’ 감독 겐 마사유키
지난 10일부터 너른 청풍호반을 배경으로 펼쳐지고 있는 2005제천국제음악영화제에서 반전과 평화를 노래하는 아시아 음악인들의 목소리가 울려퍼졌다. 11일 첫상영을 한 겐 마사유키(한국이름 현진행·47) 감독의 <샤우트 오브 아시아>는 가수 강산에가 떠나는 음악여행 형식을 빌어 한국, 일본, 중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의 뮤지션들을 만나보면서 이들의 노래를 통해 아시아의 ‘오늘’을 조망하는 다큐멘터리다.

재일동포 2세 경계인 자산
강산에등 아시아 뮤지션 조망
‘샤우트 오브 월드’ 도 찍고파

재일동포 2세로 태어나 일본인 학교에서 교육받고 자란 겐 감독은 20년동안 잔뼈가 굵은 방송계에서 휴먼 다큐멘터리로 이름을 알린 다큐멘터리 작가로 제천영화제 참석차 한국에 왔다. <샤우트 오브 아시아>는 후지텔레비전에서 60분짜리 6부작으로 만들었던 것을 두시간 분량의 극장 상영용으로 재편집한 작품. 지난 5월 도쿄에서 개봉해 5주간 상영됐고 오사카, 규슈 등 5개 지역의 순회상영을 앞두고 있다. “4년전 쯤 음악을 통해 아시아의 현실을 이야기해보자는 구상을 하게 됐어요. 음악만큼 사람의 생각이나 감정을 진실되게 드러내는 매개물도 없기 때문이죠. 그래서 이 음악기행을 이끌어갈 ‘진짜’ 뮤지션을 찾는 데만 1년 가까이 걸렸어요.” <샤우트 오브 아시아>의 제작에 관계했던 한 한국인이 강산에씨를 추천해 ‘라구요’를 처음 들은 그는 “노랫말도 알아듣지 못하고, 실향민이라는 강씨의 집안 배경을 전혀 모르는 상황이었는데도 눈물이 나왔다”고 한다.

겐 감독과 함께 제천영화제에 참석한 강산에씨의 말. “데뷔 때부터 다큐멘터리 몇편에 출연했는데 카메라가 쫓아다니는 게 불편하고 부자연스러워서 늘 후회를 했어요. 그래서 제안을 받고 처음에는 망설였는데 못가봤던 곳, 못만났던 뮤지션을 만날 수 있다는 말에 마음이 끌렸죠. 그런데 베이징 갔을 때는 사스 유행하고, 인도 갔을 때는 폭염으로 천여 명 죽고, 필리핀 갔을 때는 공항 폭탄 테러나고(웃음) 하여튼 잊을 수 없는 여행이었습니다.”

2003년 4개월 간의 여정에는 일본 오키나와 술집 접대부와 미군 사이에서 태어나 평생 차별과 정체성의 혼란으로 고통받았던 록밴드 보컬 출신의 마리, 기자로 끝없는 테러와 내전 현장을 취재하다가 펜 대신 기타를 들고 반전을 노래하기 시작한 필리핀 가수 조이 아얄라와 연변 조선족 밴드인 아리랑, 이들과 함께 만나 노래하는 윤도현 밴드 등이 동참했다.

“본래의 취지는 아시아 각 뮤지션들의 음악적 에너지를 담으려고 했을 뿐이지 이들을 하나로 묶는 주제를 생각했던 건 아니예요. 그런데 이들이 처한 고민과 현실의 뿌리에는 전쟁이 놓여 있더군요. 실향민 할아버지의 소망을 노래(‘라구요’)한 강산에씨나 마리, 저 역시도 전쟁이 없었으면 지금과 같은 모습으로 태어나 살고 있지 않았을 테지요. 저는 그걸 전쟁 디엔에이라고 표현하는데 영화를 찍고 있는 동안 이라크 전이 터졌어요. 또 다시 전쟁 디엔에이를 가진 사람들이 태어나게 된다는 데에 참여했던 모든 뮤지션이 분노해서 함께 반전을 노래하게 된거죠.”

영화에서 “조선인도 한국인도 아닌 나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보는 과정”이라고 이 작품의 또 다른 의미를 소개한 겐 감독은 “내가 누구인가에 대한 고민이 다큐멘터리를 찍게 만들었다”면서 “그렇기 때문에 재일동포라는 경계인으로 태어난 것에 감사한다”고 말했다. 다음 작품으로 <샤우트 오브 아시아>를 확장해 <샤우트 오브 월드>를 찍어보고 싶다는 겐 감독이 “강산에씨랑 한번 더 해볼 생각도 있는데 (촬영 당시 너무 고생을 해서) 싫죠? 싫죠?(웃음)” 하며 강씨에게 물었다. 강씨는 “워낙 결정타를 맞아서”라고 웃으며 즉답을 피했다.

제천/김은형 기자, 사진 제천국제음악영화제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