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장애 아빠와 남북 첩보원
밀고 당기며 쌍끌이 대박

등록 2013-02-12 20:24수정 2013-02-13 08:29

영화 <7번방의 선물>(왼쪽 사진)과 <베를린>(오른쪽)
영화 <7번방의 선물>(왼쪽 사진)과 <베를린>(오른쪽)
연초 한국영화 초강세
‘7번방’ 개봉 3주만에 700만명 관람
‘베를린’도 액션 앞세워 500만 훌쩍
한국영화 7개월째 관객 1천만 기록
외화는 ‘다이하드’만 72만명 ‘분전’

영화 <7번방의 선물>에서 지적 장애 아빠 ‘용구’(류승룡)의 어린 딸 이름 ‘이예승’(갈소원)은 이 작품을 연출한 이환경 감독의 5학년 딸 이름이다. 이 감독은 “내 전작인 <챔프>(53만명)에서도 아역의 극중 이름을 ‘예승’으로 지었는데 흥행하지 못했다며, 딸이 걱정하는 마음으로 <7번방의 선물>에선 자기 이름을 넣지 말라고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7번방의 선물>이 흥행하자 딸이 다음엔 이름 사용 저작권료를 내라고 하더라”며 웃었다.

12일 현재 관객 700만명을 넘긴 <7번방의 선물>과 500만명을 돌파한 <베를린>(감독 류승완)이 동반 흥행하며 지난해 ‘관객 1억명’을 넘긴 한국 영화가 올해도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7번방의 선물>은 8일부터 11일까지 설 연휴 4일 동안 193만명을 모았다. <베를린>은 같은 기간 170만명이 관람했다. 웃기다가 울리는 가족영화 <7번방의 선물>과 첩보액션 영화 <베를린>이 서로 다른 장르를 내세워 관객들을 사이좋게 양분한 것이다. 외화는 <다이하드 : 굿 데이 투 다이>만이 연휴에 모두 72만명을 모으며 분전했다.

총제작비를 회수하는 손익분기점이 170만명 정도인 <7번방의 선물>은 개봉 3주 만에 본전의 4배 매출을 거두었다. 영화계에선 이 작품이 제작사와 투자·배급사에 ‘넝굴째 굴러온 대박’이 됐다는 얘기가 나온다. 이환경 감독은 12일 <한겨레>와의 전화통화에서 “요즘 사람들이 정치·사회·경제적으로 억눌려 있는데, 사회에서 소외된 인물들이 다른 약자를 도와주는 <7번방의 선물>의 내용에 공감하며 위안과 치유의 힘도 얻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다른 한편에선 영화가 어린 딸을 홀로 키우던 지적 장애인에게 억울한 누명을 씌워 사형까지 선고하는 극단적인 상황으로 내몰아 눈물을 뽑아낸다는 지적도 있다.

이 감독은 “사실 세상의 모든 영화가 주인공을 궁지로 몰아간 뒤 그 상황을 어떻게 헤쳐가는가를 다룬다. 이 영화가 품고 있는 정서를 가슴으로 읽어달라”며 “이 영화는 사형으로 누군가가 억울하게 되돌릴 수 없는 죽음을 맞이한다면 사람이 사람을 처벌함으로써 빚어지는 일 중 가장 큰 오류를 범하는 것이라는 것도 말하고 싶었다”고 했다.

남북 첩보원들의 추격·배신을 다룬 <베를린>은 극의 흐름이 빨라 음모의 실체를 쉽게 파악하기 어렵다는 등의 아쉬움도 제기되지만, 한석규·하정우·류승범 등 출연진의 탄탄한 연기와 몸이 부딪히는 실감나는 액션이 볼 만하다는 평이 많다. 이 영화 제작사 ‘외유내강’의 강혜정 대표는 “액션과 영화 기술력에서 한국 영화도 외국 영화 버금가게 할 수 있구나 하고 평가해주는 관객들이 많다”고 말했다.

두 작품이 동시 흥행하면서, 한국 영화는 지난해 7월부터 올 1월까지 사상 처음 7개월 연속 매달 관객 1000만명 이상을 모으는 신기록을 써가고 있다. 올 1월 <박수건달>(388만명)과 <7번방의 선물> 등이 뜻밖의 흥행을 하며 한 달 동안 한국 영화는 관객 1198만명을 모았다. 1월 한국 영화 점유율은 지난해 1월보다 23.8%가 높은 58.9%을 점했다. 지난해 12월부터 개봉한 외화 중에선 <레 미제라블>(572만명) 외에 관객 200만명을 넘긴 영화가 없다.

정지욱 영화평론가는 “한국 영화에 대한 관객의 신뢰가 두터워졌음을 보여준다. 40~50대 관객도 늘고, 가족 레저로 영화를 관람하는 문화가 정착되면서 어느 정도 수준을 갖추고 관객 300만~400만명 이상 모으는 한국 영화가 많이 나올 것 같다”고 했다. 영화계는 <남자사용설명서>(14일) <신세계>(21일) 등 기대작들이 개봉을 앞두고 있어 한국 영화 강세가 멈추지 않을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사진 NEW·외유내강 제공

<한겨레 인기기사>

“내가 대통령 사돈인데…” MB 사돈, 사기혐의로 구속
일베, 임윤택씨 죽음도 조롱…“해도 너무한다”
대선 비용 박근혜 479억·문재인 485억
또다른 시험대 선 박근혜…핵 보고받고 MB와 독대 ‘긴박’
[화보] 북한 인공지진 발생, 3차 핵실험 강행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