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효 인하대 교수·영화감독
[문화‘랑’] 육상효의 이야기세상
호남 사투리가 영화를 지배하던 시절이 있었다. 사투리 하나로 쉽게 건달의 캐릭터가 만들어졌다. 이 사투리는 액션 영화의 모든 인물들의 말씨를 통일시키더니, 급기야 조폭코미디라는 신종 장르까지 만들어냈다. 심지어 개그 프로그램에도 등장했다. 초등학생들에게까지 쉽게 소통되는 문화적 기호로서 자리잡은 것이다. 모든 강력한 유행이 그렇듯 이 캐릭터에도 쇠퇴기가 왔다. 이야기 세계의 유행은 어쩌면 패션보다도 빠른 법이다. 식상한 애인은 의리로라도 볼 수 있지만, 식상한 문화 상품에 의리를 지키는 구매자는 없다.
대체 캐릭터가 필요했다. 몇몇의 시도가 있었다. 다른 지역의 사투리를 구사하는 건달들이 등장해서 간헐적인 성공을 거뒀지만 한 시기를 지배하는 캐릭터가 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한국 영화 속에서 강력한 악인들이 사라져갔다. 강력한 악인이 없이 선한 주인공이 만들어질 수 있는가? 목마른 산업에 복음은 뜻밖에도 밖에서 전해졌다. 한류로 한국 영화의 국제화 지수가 많이 높아졌지만 여전히 영화 내용의 국제화는 미흡했다. 또한 사회가 다문화로 진입한다면 당연히 영화도 그것을 반영해야 했다. 그것이 다문화에 대한 인정이든 아니면 공포이든. <마이 웨이>로 증명된 것은 동아시아의 과거사가 휴머니즘 스토리로 안착하기에는 아직은 더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연변의 캐릭터들은 <황해>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했다. 개 뼈로도 사람을 죽일 수도 있다는 데서 보이는 이들의 이질적이고 원시적인 폭력성은 어쩌면 한국 중산층이 다문화 사회에 갖는 근원적인 공포에서 캐릭터의 설득력을 얻고 있는지 모른다. 이 영화에서 일군의 연변 건달들이 한국 중산층의 공간인 호텔로 들어오는 장면에서의 기이한 위협감은 당분간 이들이 한국 영화에서 효과적인 캐릭터로 사용될 수 있음을 예고했다.
이 캐릭터들은 <신세계>에서는 좀더 분명한 패턴으로 등장한다. ‘연변 거지’라는 캐릭터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들은 돈에 의해 교환되는, 값싼 폭력의 제공자로 등장한다. 폭력의 논리보다는 폭력의 실행에 집중하는 이들은 섬뜩할 정도로 순진하기까지 하다. 이런 인물들은 미국 영화들이 중남미 출신 사람들을 손쉽게 범죄 캐릭터로 이용하는 것처럼 경제적 낙후를 범죄와 동일시하는 위험한 생각을 반영하기도 한다.
북한 공작원은 최근 한국 영화 악인 캐릭터의 또다른 종류다. 남북 간의 대결을 휴머니즘으로 무장한 세련된 첩보물로 중화시킨 영화 속에서 등장하는 이 공작원 캐릭터들은 극한의 훈련을 통해 길러진 탁월한 신체적 능력이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탁월한 신체 능력은 모든 액션 영화 악인들의 공통점이라는 측면에서 이 캐릭터들의 효용은 입증된다. 영화에 따라서 북한 체제에 대한 믿음을 버리지 않으면 악인으로, 체제에 대한 믿음과 개인적 정서들이 강하게 충돌을 일으키면 선인, 즉 문제적 주인공으로 그려진다. 이 인물들은 <쉬리>에서 시작돼 <이중간첩> <베를린> 등으로 진화해 왔다. <간첩 리철진> <간첩> 등의 영화에서는 일상성과 결합하기도 했다. 최근 <은밀하게 위대하게>에서는 일상적 공작원과 첩보형 공작원을 결합시키기도 했다.
재밌는 건 위 두 종류의 캐릭터들이 이미 개그 프로그램의 소재로 사용되기 시작했다는 것. 그것은 새로운 캐릭터의 내면이 탐구되지 않는 한 이 캐릭터들도 금방 식상한 문화 상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육상효 인하대 교수·영화감독
<한겨레 인기기사>
■ 김무성 ‘천기누설’ 뒤 “이건 속기록에서 지워라”
■ [단독] 새누리 당직자 휴대폰 문자에 “어제 대표님 발언 유출자는 김재원 의원”
■ 의원직 걸겠다던 서상기·정문헌 대화록 공개되자...
■ 노무현은 남재준의 명예를 세워줬지만...두 사람의 ‘악연’
■ [화보] 6.25 63주년...미공개 사진으로 본 그날의 현장
■ 김무성 ‘천기누설’ 뒤 “이건 속기록에서 지워라”
■ [단독] 새누리 당직자 휴대폰 문자에 “어제 대표님 발언 유출자는 김재원 의원”
■ 의원직 걸겠다던 서상기·정문헌 대화록 공개되자...
■ 노무현은 남재준의 명예를 세워줬지만...두 사람의 ‘악연’
■ [화보] 6.25 63주년...미공개 사진으로 본 그날의 현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