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관객수 보고 폐인됨” 니들이 에로를 알아?

등록 2013-10-17 15:18수정 2013-10-17 15:20

봉만대 감독
봉만대 감독
[사람매거진 나·들]
에로 거장 봉만대가 아티스트 봉만대에게 묻는다
■ 가상 인터뷰

Q 에로 거장 봉만대
A 아티스트 봉만대

Q 드디어 1천만 뷰 클릭을 기록했어. 축하해.

A 어, 그래.

Q 반응이 뭐 그래? 대중이 극장에서 안 보고 집에서만 봐서?

A 기자·평론가들도 재미나다고 얘길 했잖아? 별도 4개씩이나 주고. 지금도 트위터에선 굿굿, 이러는데…. 평점도 좋고. 근데 왜 영화관에 와서 보지 않았을까? 뭐가 문제였을까? 내 연기도 좋다고 했는데.

Q 그러게. 새로운 장르에, 코미디는 아니지만 웃기는 영화인데…. 연말에 신인배우상이라도 노려봐.

A 영화밥 20년 만에 신인배우상이라. 그게 더 코미디다. 감독이 감독상을 받아야지.

Q 상 받으려고 만든 거 아니잖아. 그냥 네 얘길 하고 싶었던 거잖아.

A 솔직히 상 받고 싶다. 너도 내 연기 봤잖아? 배우가 아닌 감독이 연기를 한 거잖아. 감독하면서 이 정도로 연기 잘하는 대한민국 감독 있어?

Q 있어. <똥파리> 양익준 감독님.

A 장르가 다르잖아.

Q 또 있어. <땡볕> 하명중 감독님.

A 아∼! (깊은 탄식)

Q 앞으론 감독이나 잘해. 예술 같은 거 하지 말고. 대중성을 키우라고.

A 대중이 뭔데? 극장에 오지 않는 대중?

Q 진정한 상업영화를 해. 네가 좋아하는 거 하지 말고. 대중을 위한 대중에 의한….

A 나 상업영화 한 건데… 진짜로. 이번 건 특히나 더.

Q 에로를 표방하는 영화는 대중이 잘 안 봐. 특히 여성 관객은. 마케팅의 실수였어.

A 제작사가 어렵게 어렵게 부가판권 사업으로 간신히 영화계에 발을 들여놓았거든. 영화관에서 기대 이하니까 실망이 컸을 거야. 뭐랄까 투전판에서 모은 돈으로 카지노에서 베팅하다 무너지는 느낌. 뭐 그런 느낌 아닐까.

Q 그래서 영화가 쉽지 않은 거지.

A 잘됐으면 제작자도 앞으로 웰메이드 영화를 만들겠다고 했을 텐데. 주변 반응 때문에 잘될 거라고 생각했어. 그게 서로 괴로운 거지.

Q 그래서 우울해?

A 지금은 좋아졌어. 개봉 일주일 뒤에는 관객 수 보고 돌아버리는 줄 알았어. 미친놈처럼 지냈다니까. 술만 먹고. 극복하기 힘들었어.

Q 솔직히 영화관에서 봐야 하는 영화로 보이지 않던데.

A 그게 구분이 되냐. 내가 TV 영화 만든 것도 아닌데. 그럼 어디서 봐? 극장용이면 극장에서 봐야지.

Q 그러게. 나도 답답하다. 너라고 극장에서 흥행 안 하고 싶었겠냐. 흥행이라는 걸 극장 관객 수로만 재잖아.

A 홍보 비용이 없었어. 극장도 많이 없었고. 그것도 퐁당퐁당에 오후 늦게 한 번이거나 아니면 새벽에 틀고.

Q 요즘 관객 참 귀신 같지. 알 수가 없어.

A 학습이 잘된 대중이야. 판단도 잘 내리더라. 누가 가르쳐주지도 않았는데 극장에서 볼 영화, 다운로드할 영화, 그렇게 둘로 갈라지더라. 홍해 갈라지듯.

Q 10대들은 봉만대가 누군지 모른대. 그래서 극장 흥행이 안 된 거 아닐까?

A 사실 극장에서 공약도 했는데. 100만 관객 들면 누드 화보 찍겠다고.

Q 안 된 게 다행이지?

A 색다른 화보를 찍고 싶었어. LUCANA의 작품처럼 예술성 짙은 그런 사진을. 그들이 볼 기회를 버린 거지.

Q 너무 그들을 탓하지 마. 네 뒤에는 너를 응원하는 1003만 명이 있어. 이제부터 더 잘하면 되잖아. 그래도 <신데렐라>는 많이 봤지.

A 위안이 안 되잖아. 그건 15세 관람가야.

Q 그럼 답 나왔네. 15세 관람가를 찍어. 아니면 12세 관람가를 찍든지. 전체 관람가도 좋고. 이왕 하는 거 좋은 배우 쓰고. 흥행 공식에 맞춰 찍어. 극장에서 흥행하고 싶다며?

A 콱 그래버리자. 근데 누가 투자해주려나?

Q 할 이야기는 있니?

A 없어.

Q 그냥 하던 거 해라. 못하는 것을 잘하려 하지 말고 잘하는 것을 더 잘하려고 해야지.

A 그래. 난 19세가 어울려. 뜨거운 연애의 온도를 지닌 그들을 위해서라도 뭔가 계속해야지. 근데 19세 이것들은 어디서 뭘 하며 노는 거야?

Q 공부하잖아. 대학가 카페 안 가봤어? 거기 완전 도서관이잖아. 애들 공부만 한다니까. 연애도 안 해. 돈도 안 쓰고. 몰랐어? 심신 위안용으로 뒤늦게 네 영화 다운로드하는 거야. 그나마 돈 주고 본 사람이 1천만인 게 다행이지. 만대가 현실을 모르네.

A 고맙네. 먹고살기 힘든 시기에 돈 주고 내 영화를 봐주다니.

Q 솔직히 말해봐. 너 진짜 에로 좋아해?

A 솔직하게?

Q 그래, 솔직하게.

A 난 뭐 태어나 울 때 응애응애 안 하고 에로에로 하며 울었겠냐? 첨부터 좋아했던 건 아니지. 아마도… 음… 첫사랑에 실패해서 그런 거 같아. 거의 처용가 수준이었거든.

Q 그건 여기저기서 이야기한 거잖아. 그거 말고 좀더 깊숙이 들어가봐.

A 사춘기. 호기심이 극으로 달할 때인가? 아… 모르겠네. 더 이상 묻지 마. 나도 몰라.

Q 차기작은 있어?

A 있어.

Q <봉만대 아티스트 2> 이런 건 아니지?

A 투(2)는 극장 흥행해야 나오지. 너도 알잖아.

Q 1천만 뷰 했는데 하면 안 되는 거야? 에로에 대해 좀더 궁금한 게 있었는데.

A 그건 다음에 기회가 되면 4부작 드라마로 만들어서 보여줄게. 미드(미국 드라마)처럼 있어 보이게. 실은 사극을 하려고 마음의 준비를 하고 있어.

Q 마음의 준비? 뭐가 그리 복잡해. 쉽게 말해.

A. 대본은 있고 사극이야. 계약하면 알려줄게.

Q 그거 에로야?

A 네가 에로를 알아?

Q 알아. 벗기는 거잖아.

A 벗는다고 다 에로는 아니야.

Q 제목만이라도 말해주면 안 되나?

A <오색동상전>.

Q 봉만대의 에로틱 사극 <오색동상전>이라…, 오~색! 재미있겠는데. 사극 좋아해?

Q 무척 좋아하지. 하면서 맘 굳혔어. 앞으로 사극 3편 정도는 하고 싶은데, 되려나.

Q <맛있는 섹스, 그리고 사랑 2>를 찍지 그래? 많이 볼 텐데. 그건 지금도 케이블에서 하잖아.

A <맛있는 섹스, 그리고 사랑> 같은 사극 버전은 어때?

Q 그것도 좋겠다. 아티스트봉이 마지막으로 에로봉에게 하고 싶은 말 없어?

A 음…. 옛날에는 호환, 마마, 전쟁 등이 가장 무서운 질병이었으나 현재의 아이들은 무분별하게 스마트 기기를 다루는 게 질병이지. 큰 병이야. 영화를 보는 방법도 많이 달라질 거야. 영화는 필름이라며 소리치던 시절이 언제였지? 기억도 안 나. 이젠 모든 게 디지털화됐어. 생각마저도. 제3의 문화는 이미지로 가는 세상이야. 과거의 문맹은 글을 모르는 거지만 미래에는 이미지를 모르면 문맹이라는 소릴 들을 거야. 극장에 못 온 건 불편하니까 그랬겠지. 리모컨을 들고 누워서 보는 관객도 중요해. 더 이상 앉아서 보라고 강요하진 말자. 나도 제3의 문화를 준비하고 있으니까. 시대가 달라졌어. 아니 빨라졌어. 빨라도 너무 빨라졌어. 케이블 세대와 인터넷 세대, 곧 태어날 스마트 세대까지 아우를 수 있는 영화를 만들어볼게. 그리고 그들을 이해할게. ‘21금법’도 만들어지길 기대할게. 제한상영가 이거 너무하잖아. 상영관도 없는데, 보지 말라는 말이잖아. 다양성 문화와 아티스트의 삶을 위하여 21금법 국회 상정!

Q 고마워, 아봉. 빨리 회복해서 좋은 영화 만들어.

A
내가 고마워. 에로봉.

<나·들>은 한겨레가 만든 사람 잡지입니다. 세상을 만들고 움직이는 것은 사람이고 사람을 보면 세상이 보인다는 믿음으로 만든 잡지입니다.

[나·들 기사 더 보기]
▷ 벗었는데 야하진 않다 음담 ‘봉’설
▷ 손아람이 본 봉만대|에로로 위장한 예술의 속삭임
▷ 이택광이 본 봉만대|홍상수 같기도 히치콕 같기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