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내가 제임스 본드다!

등록 2013-12-02 10:05

스티브 매퀸 감독의 <노예 12년>은 남북전쟁 당시 납치당해 12년간 노예로 살았던 흑인 솔로몬 노섭의 실화를 다룬 영화다.
스티브 매퀸 감독의 <노예 12년>은 남북전쟁 당시 납치당해 12년간 노예로 살았던 흑인 솔로몬 노섭의 실화를 다룬 영화다.
할리우드 유명 영화제작자 아논 밀천
이스라엘 스파이 활동 고백
씨네21 바로가기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일이 벌어졌다. 할리우드 유명 영화제작자 아논 밀천(68)이 그동안 이스라엘 스파이로 활동하며 이중생활을 해왔다고 고백한 것이다. 밀천은 11월25일(현지시각) 이스라엘 TV 탐사 프로그램인 <우브다>에 출연, 1960년대 말부터 영화계 활동을 하면서 이스라엘을 위한 첩보활동을 병행해왔음을 밝혔다. 이스라엘계 미국인인 밀천은 1978년 영화 <메두사>를 통해 처음 제작자로 데뷔한 이래 <코미디의 왕>(1983), <아마데우스>(1984), <귀여운 여인>(1990), 그리고 최근의 <미스터 & 미세스 스미스>(2005) 등 지금까지 120편이 넘는 영화를 제작하며 할리우드에서 명성을 쌓아온 역량 있는 제작자다. 그런 그가 군사 정보와 무기 거래는 물론 핵 관련 첩보활동까지 벌여왔다는 사실은 소문만 무성하던 할리우드와 이스라엘의 정치적 유착 관계에 힘을 싣는 증거가 되면서 단순한 가십을 넘어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영국 의 보도로 처음 알려진 이 소식에 대해 밀천은 “난 조국을 위해 일했고 그 사실이 자랑스럽다”며 긍정을 표했다.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1960년대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백인정권 설립을 위해 벌인 이미지 공작에 대한 고백이다. 당시 이스라엘과 미국이 우라늄을 입수하기 위해 남아프리카에 친미정권을 설립하는 데 밀천이 일조했다는 것이다. 그는 이후 공작에 대한 사죄의 의미로 <아웃 오브 아프리카>에 간접적으로 지원했다고도 밝혔다. 또한 최근 <노예 12년>의 공동제작에 참여한 것도 이러한 사죄의 일환이라고 고백했다. 일각에서는 이미 개봉한 <노예 12년>의 홍보를 위한 발언이 아닌가 하는 의심의 눈초리도 있지만, 그럼에도 이번 고백으로 할리우드영화가 친이스라엘 이미지를 위해 활용되고 있다는 그간의 의혹에 결정적인 증거가 나온 셈이다. 로버트 드 니로와 함께 출연한 이 방송에서 밀천은 “내 개인적 활동과 영화 제작을 철저히 분리하려 했지만 때때로 뒤섞였다”고 회고하며 자신 이외에도 이스라엘의 비밀 첩보활동과 연계된 거물급 인사가 더 있다고 전했다.

글 : 송경원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