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다 봤나요? 한국 최고 걸작 영화 12편

등록 2014-01-31 10:10수정 2014-01-31 10:39

하녀
하녀
  

짧지 않은 설 연휴에 즐길거리가 고민이라면, 역대 최고의 한국 영화 감상을 추천할 만하다. 최근 영화학자와 평론가, 제작자 등 영화 전문가 62인이 뽑은 ‘한국영화 100선’ 가운데 순위를 정했던 상위 12편을 남은 연휴 기간 동안 완전 정복해 보면 어떨까?

 한국영화 최고의 작품으로는 김기영 감독의 <하녀>(1960)가 꼽히고 있다. 한국영화 최고의 전성기로 꼽히는 1960년대를 열었던 작품으로 제작된 지 반세기가 넘었지만, ‘한국영화 걸작’에서 1위 자리를 거의 놓치지 않을 만큼 명작으로 평가받는다. 영화는 작곡가인 동식(김진규)이 새 가정부(이은심)와 불륜을 맺으면서 남편과 아내, 가정부의 기묘한 동거가 시작되고, 이 과정에서 성적 욕망의 분출과 기괴한 유아살해사건까지 발생한다. 당시 파격적인 판타지와 스릴러, 에로티시즘이 결합된 고전 걸작으로 꼽힌다. ‘국민배우’ 안성기의 아역배우 시절 모습을 볼 수 있다. 2010년 전도연이 주연한 <하녀>의 원작이기도 하다. 영화 전문가들이 <하녀>와 함께 공동 1위로 꼽은 영화로, 리얼리즘의 걸작으로 꼽히는 유현목 감독의 <오발탄>(1961)과 하길종 감독의 <바보들의 행진>도 있다.

 범접하기 어려운 ‘영화의 클래스’를 선보여온 거장 이장호 감독의 영화를 집중적으로 볼 수도 있다. 이장호 감독은 <별들의 고향>(6위·1974), <바람불어 좋은날>(7위·1980), 바보선언(공동 9위·1983) 등 무려 세편을 ‘한국 최고 영화’ 순위권에 올려놨다. 특히 <별들의 고향>은 이 감독의 첫 작품이자 1970년대 서울에서만 관객 46만명을 넘기면서 당시로는 기적에 가까운 흥행을 기록했던 영화다.

 대학교수 부인이 ‘춤바람’으로 일탈한다는 내용의 <자유부인>(4위·1956)과 순박한 시골 처녀가 서울로 상경해 집창촌 여성으로 전락하고 한쪽 팔마저 잃는다는 파격적인 소재의 <영자의 전성시대>(공동 9위·1975)처럼 수십년전 사회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영화들도 볼 만하다. 특히 영화 <자유부인>은 <서울신문>에 실렸던 원작 소설이 연재 종결과 함께 신문 판매부수가 5만부 이상 줄었다는 일화가 있을 만큼 큰 화제를 끌었던 작품이다.

 요즘 세대들한테 비교적 잘 알려진 작품들도 있다. 공동 9위에 오른 <서편제>는 지금도 왕성한 활동을 보이는 임권택 감독의 작품이다. 역대 한국 영화 가운데 ‘1000만 관객 영화’로는 유일하게 순위권에 든 봉준호 감독의 <살인의 추억>(공동 7위·2003)은 지금 봐도 11년이란 간극을 전혀 느끼기 어려울 만큼 여전한 재미를 준다.

 이들 12편 가운데 10편은 한국영상자료원 온라인 주문형 비디오 사이트(kmdb.or.kr/vod)에서 편당 500원에 손쉽게 관람할 수 있다. 저작권 문제가 남은 <자유부인>과 아이피 텔레비전(IPTV) 등에서 유료 서비스되고 있는 <살인의 추억>은 이곳에서 볼 수 없지만, 서울 상암동 한국영상자료원 2층에 위치한 영상도서관을 찾으면 12편 영화를 모두 무료로 볼 수 있다. 홍석재 기자 forchis@hani.co.kr

자료: 한국영상자료원
자료: 한국영상자료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