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디즈니에게 한국은 늘 고마운 나라”

등록 2014-03-31 19:29수정 2014-03-31 21:10

<겨울왕국>의 프로듀서 피터 델 베초
<겨울왕국>의 프로듀서 피터 델 베초
‘겨울왕국’ 프로듀서 피터 델 베초

미국 다음으로 한국서 많이 봐
관객 눈 맞춘 덕에 ‘디즈니 재건’
세계인 즐길 ‘뮤지컬 버전’도 고민
“<겨울왕국>은 사랑과 누구나 가진 근본적 두려움 사이의 고민을 잘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이런 것들이 많은 이들의 공감과 감동을 불러와 영화가 큰 사랑을 받게 된 것 같습니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선풍적인 바람을 일으킨 디즈니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의 프로듀서 피터 델 베초(사진)는 3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의 한 식당에서 기자들과 만나 <겨울왕국>의 성공 요인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그는 문화체육관광부·한국콘텐츠진흥원이 이날부터 4월4일까지 코엑스에서 여는 ‘콘텐츠 인사이트 2014’의 첫날 행사 연사로 참석했다.

지난해 11월 개봉한 <겨울왕국>은 미국에서만 4억 달러, 세계에서 10억 달러를 벌어들이는 등 큰 성공을 거뒀다. 국내에서도 애니메이션 최초로 관객 1000만을 돌파하며 화제를 모았다. 한국은 미국 다음으로 관객이 많이 든 나라다.

피터 델 베초는 “한국인들이 음악을 사랑하고 즐기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겨울왕국>의 음악이 특히 공감과 감동을 준 것 같다”며 “한국은 대단히 크고 중요한 시장이다. (디즈니가 제작하는) 영화 <어벤져스2>도 한국에서 촬영하는 등 디즈니로서 한국은 늘 고마운 나라다”라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겨울왕국>은 애니메이션의 명가 디즈니의 재건에 큰 견인차가 된 작품이다. 디즈니는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인어공주> <미녀와 야수> <라이온킹> 등으로 황금기를 누리다 2000년대 들어 드림웍스, 픽사 등 경쟁사나 자사가 인수한 산하 스튜디오에 밀려났다. 그러다 <라푼젤>(2010)과 <겨울왕국>의 잇따른 성공으로 명가의 자존심을 회복했다.

피터 델 베초는 “경영진이 아닌 감독과 제작진 중심의 스튜디오로 변모한 것이 비결”이라고 설명했다. 디즈니가 2006년 인수한 픽사의 핵심인물인 존 래스터가 디즈니의 크리에이티브 총괄 담당(CCO)을 맡으면서 이런 변화가 시작됐다는 것이다. 그는 “대사 말고 표정만으로도 주인공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큰 공을 들였다”고 강조했다. “등장인물의 세밀한 표정을 묘사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해 <라푼젤>로 어느 정도 성과를 거뒀고, <겨울왕국>으로 이전 성과를 뛰어넘는 결과물을 만들어냈어요. 이 또한 <겨울왕국>의 중요한 성공 요인입니다.”

<겨울왕국>이 전통적 가치를 중시하는 과거 디즈니 작품들과 다른 성향을 보인다는 평가에 대해 그는 “디즈니의 예전 작품들을 사랑하지만, 이는 당시 세대에 맞춰 만들어진 것이다. 우리는 지금 이 시대 관객들이 보고 싶어하는 것이 뭔지 관객의 눈에서 고민한다. 그래서 이전과 다른 스토리가 나왔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겨울왕국>이 단순히 숫자로 최고의 영화가 됐다는 사실을 떠나 세계인들이 즐기는 영화가 돼서 자랑스러워요. 요즘은 <겨울왕국> 뮤지컬 버전도 고민하고 있는데, <겨울왕국>이 여러 방면에서 사람들에게 다가갈 생각을 하니 더욱 흥분됩니다.”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

사진 한국콘텐츠진흥원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