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국제시장’ 역대 14번째 1000만 관객 돌파

등록 2015-01-14 00:14수정 2015-01-14 00:42

영화 ‘국제시장’
영화 ‘국제시장’
윤제균 감독 “소통 바라는 영화 진정성이 통한 결과”
6·25 전쟁부터 70년대 산업화 시대까지 격동의 현대사를 살아낸 우리 아버지들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 <국제시장>이 1000만 관객을 돌파했다.

<국제시장> 투자·배급사인 씨제이엔터테인먼트는 14일 새벽 “13일 자정까지 하루동안 15만5000여명의 관객이 들어 개봉 28일 만에 누적관객수 1000만1252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역대 14번째, 한국 영화로는 11번째 1000만 영화다. 윤제균 감독은 전작인 <해운대>(2009년·1145만)에 이어 <국제시장>까지 ‘1000만 클럽’에 가입함으로써 한국 영화 사상 최초로 두 편의 1000만 영화를 연출한 감독이 됐다.

<국제시장>은 개봉 초기부터 ‘정치적 논란’에 휩싸이며 관객들의 관심을 끌어모았다. 보수언론을 중심으로 영화에 대해 주목하는 이례적 보도가 쏟아졌고, 허지웅 영화평론가, 진중권 동양대 교수 등 많은 진보 논객들이 영화에 대한 비판적 의견을 밝히며 논란이 증폭됐다. 심지어 박근혜 대통령까지 나서 애국심을 강조하고, 정치인들도 앞다퉈 관람한 뒤 각자 해석을 내놓으며 흥행돌풍 못지않은 장외 논쟁이 불붙기도 했다.

하지만 흥행의 중심에는 이념 논쟁뿐 아니라 ‘세대를 뛰어넘는 공감의 힘’도 자리잡고 있다. 애초 힘들게 살아온 아버지·어머니들의 이야기라는 점 때문에 중·장년층의 호응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됐으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20대 젊은층의 관람 비율이 50대 이상보다 더 높았다. 이한솔(26)씨는 “가족을 위해 희생을 감내하는 주인공 덕수의 모습에서 부모님이 떠올라 많이 울었다”며 “산업화 시대를 미화했다는 비판적 시각에서 벗어나 가족영화로 바라보면 <국제시장>은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면이 많다”고 말했다.

윤제균 감독은 “우리 아버지·어머니에 대한 존경과 감사, 그리고 세대와 지역을 아우르는 소통을 바라는 영화의 진정성이 통한 결과가 아닌가 한다”며 “무엇보다 젊은 세대가 이 영화를 많이 봤으면 하는 바람이 이뤄져 기쁘다”고 말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