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열정적 여성의 모습 내 심장에 강한 각인 ‘비비언 리’

등록 2005-09-28 19:06수정 2006-03-23 16:06

스크린속나의연인
어릴 적 일본에서 살던 집 건너편에는 할머니, 할아버지 내외분이 운영하던 꽤 큰 영화관이 있었다.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는 기억 나지 않지만 방과 후면 늘 그 곳에 가서 영화도 보고, 두 분과 저녁도 먹곤 했다. 유년 시절 영화관은 하교 후 가방만 던져놓고 달려 나가는 놀이터였던 셈이다.

그렇게 보기 시작한 영화 중 선명하게 기억 되는 첫번째 영화가 저 유명한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이다. 몇 번을 보고 또 봤다. 아름다운 스칼렛, 비비안 리. 그는 단번에 내 시선을 빼앗아 가버린 ‘너무나도 예쁜’ 기억 최초의 ‘서양 여성’으로, 이후 내 인생의 모델이자 미적 감성의 원천이 되어 버렸다. 철없고, 가냘프게만 보이는 그가 석양 무렵 당근을 뽑으며 “내일은 내일의 해가 뜬다”라거나, “신께 맹세코 앞으로 나는 더 이상 배고프지 않겠어, 내 가족을 굶주리지 않게 하겠어”라며 되뇌던 모습은, 그때까지 내가 갖고 있던 ‘여성’에 대한 이미지를 180도 바꿔놓기에 충분했다.

당시 내 머리 속 여성의 이미지는 자기 의사도 제대로 표현할 줄 모르고, 항상 ‘네, 네’ 머리 조아리던 수동적인 모습에 지나지 않았다. 그런 내게 영화 속 스칼렛, 서양 여성 비비안 리는 겉으로는 부드럽지만 속에는 뜨거운 열정이 있고, 귀엽고 발랄하지만 때로는 강인하고 격정적이기까지 한 다양한 모습을 갖고 있는 ‘인간’으로, 내게 또 다른 ‘삶’을 보여 주었던 것이다.

이후 나는 자유롭고 능동적인 서양 여성의 매력에 흠뻑 빠져 <애수> <로마의 휴일> <티파니에서 아침을>을 비롯해 비비안 리, 오드리 헵번 등이 나오는 영화를 빼놓지 않고 보게 되었는데, 그 때 본 영화들을 통해 자연스럽게 삶에 대한 이해와 예술적 감성을 넓혀 나갈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어쩌면, 이 글을 쓰면서, ‘영화’와 그녀들은 내게 삶을 보여준 모델이자 발레를 만나게 해준 숨은 주역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영화 속 주인공으로 다양한 모습을 보여줬을 뿐만 아니라, 그들은 실제로 다양한 배역에 도전하며 적극적인 삶을 살았기 때문이다.

바지를 입고 아무렇지도 않게 계단에 앉아 있던 오드리 헵번(<사브리나>)은 어린 내게 ‘자유’의 상징이었다. 그가 <어두워질 때까지>란 스릴러 영화에서 눈이 먼 역할로 출연했을 때는 그 변신, 도전에 존경심마저 들 정도였다.

그들을 통해 나는 자연스럽게 아름다움에, 그리고 음악에 심취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뮤지컬영화 <마이 페어 레이디>의 감동은 나에게 음악적 감성을 깨워준 것 같다. 이 후 뮤지컬 영화를 특히 좋아하게 되어 <사운드 오브 뮤직> <메리 포핀스> 등을 빼놓지 않고 봤으니 말이다. 무엇보다 <애수>에서 발레단의 가장 예쁜(!) 발레리나로 나왔던 비비안 리의 모습은 이 후 나를 발레로 이끈 장본인은 아니었을까?

최태지 정동극장장
최태지 정동극장장
발레 무용수로 있을 때 나는 <백조의 호수>를 특히 좋아했다. 여성스럽고 아름다운 백조 오데트가 강하고 유혹적인 흑조 오딜로 변신하는 그 순간이 정말 매력적이었기 때문이다. 어쩌면 나는 삶에서도 그러한 변신을 좋아하는지 모른다.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항상 다양한 모습에 도전하는 모습 말이다. 물론, 내 삶의 모델이었던 그들을 통해 자연스럽게 이르게 된 것이리라.


오드리 헵번은 말년의 삶을 유니세프 대사로 아프리카의 어린이들을 돌보는 데 썼다. 죽기 전까지 또 다른 도전을 하며 적극적인 삶을 산 것이다. 진정 아름다운 그녀들처럼 나도 끊임없이 여러 가지 도전을 하면서 변신해 나갈 것이다.

최태지/정동극장장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