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잉여싸롱] 찌질한 청춘에 채찍질, 〈스물〉 〈위플래쉬〉

등록 2015-04-02 19:06수정 2015-04-03 14:17

반가운 청춘 영화 두편

잉여싸롱 ‘스물·위플래쉬’편
잉여싸롱 ‘스물·위플래쉬’편
비수기 극장가에서 두 편의 수작 영화가 선전중이다. 김우빈·이준호·강하늘 주연의 한국영화 <스물>은 지난달 24일 개봉 이후 닷새 만에 100만 관객을 넘겼다. 지난달 12일 개봉한 아카데미 3관왕 <위플래쉬>는 120만 관객을 넘기며 장기흥행 체제에 들어갔다. 이번주 <잉여싸롱>에선 청춘의 단면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그린 두 영화를 놓고 얘기를 나눴다.

김선영: 청춘영화 자체를 찾아보기 힘들어진 시대에 볼 만한 청춘영화가 두 편이나 등장해 반갑다. 더군다나 두 작품 다 그 장르에서 흔히 기대하는 전형성을 탈피한 매력이 있어서 같이 비교해보면 더 재밌다. <스물>에는 청춘영화 특유의 감정과잉 대신 존재 그대로를 긍정하는 시선이 있고, <위플래쉬>는 음악영화의 흥행코드인 하모니, 힐링이 아니라 긴장감을 극한까지 몰고가는 액션 스릴러 같은 쾌감이 있다.

서정민: <스물>에서 동우(이준호)는 최규석 작가의 만화 <울기엔 좀 애매한>에서 따온 캐릭터다. 실제로 “울기엔 좀 애매하지 않나?” 하는 대사도 나온다. 누구나 돌아보면, 스물 언저리에는 고민하고 방황하고 불안해하고 그랬다. 그래도 많은 청춘영화처럼 한강에 뛰어들고 자살을 고민하고 한 경우는 드물다. 고민과 방황을 해도 애매하게 했다. <스물>은 그걸 잘 잡아낸다. “뭐 이러냐? 뭐가 있을 줄 알았는데, 없어. 애매해.” 그게 스무살이고 청춘인 것 같다.

이승한: 녹화 중 <위플래쉬> 이야기를 하다 흥분했다. 나눗셈을 뒷자리부터 한다고 내 뺨을 때리고 공공연히 폭언을 하던 초등학교 시절 선생이 떠올라서. 다른 나라 관객이 플래처(J.K. 시먼스)라는 괴물을 보며 넘어야 할 심정적 고통의 허들을, 우리는 애초에 뛰어넘고 시작한다. ‘아, 나도 저런 선생 겪어봤는데’라는 모종의 동류의식 같은 거. 우리의 성장은 왜 그리 폭력적이었던 걸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