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본처와 후처의 46년 기막힌 동거…“이 아가 우리 영감 세컨드요!”

등록 2015-09-15 19:00수정 2015-09-16 08:13

박혁지 감독의 다큐 ‘춘희막이’
특별한 스토리·연출·대사 없지만 ‘님아…’ 못지 않은 고요한 감동
다큐영화 <춘희막이>는 46년째 한 지붕 아래 살고 있는 ‘본처’와 ‘후처’ 이야기를 그린다. 남편도 자식도 떠난 자리에서 서로의 곁을 지키고 있는 두 할머니의 모습은 <워낭소리>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를 잇는 진한 감동을 전한다.  올댓시네마 제공
다큐영화 <춘희막이>는 46년째 한 지붕 아래 살고 있는 ‘본처’와 ‘후처’ 이야기를 그린다. 남편도 자식도 떠난 자리에서 서로의 곁을 지키고 있는 두 할머니의 모습은 <워낭소리>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를 잇는 진한 감동을 전한다. 올댓시네마 제공
‘절대 가까워질 수 없는 사이지만, 결국 세상 누구보다 가까워진 두 할머니 이야기.’

<춘희막이>는 경상북도 영덕의 한 마을, 한 지붕 아래서 46년째 기막힌 동거를 하고 있는 ‘본처’ 최막이(90) 할머니와 ‘후처’ 김춘희(71) 할머니의 삶을 조명한 다큐멘터리 영화다. “1960년대까지 아들 없는 집에 씨받이를 들이는 일이 흔했다. 어떤 집에서는 아이를 얻은 후 씨받이를 내치고 어떤 집에서는 첩으로 눌러앉히기도 했다”는 자막으로 영화는 시작한다. 지금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지만, 그 시절엔 그랬다.

막이 할머니는 아들 둘을 낳았다. 하지만 1959년 닥친 태풍 사라호에 첫아들을 잃었다. 그 후 얼마 되지 않아 둘째 아들마저 홍역으로 잃게 된다. ‘집안의 대를 잇지 못한 죄인’이 된 막이 할머니는 남편의 후처를 스스로 물색한다. 정신지체 장애로 7~8살 지능밖에 되지 않는 춘희 할머니를 만난 막이 할머니는 “조금 모자라니 그나마 견디고 살지 싶어” 데려온다. 이후 1남2녀를 차례로 낳은 춘희 할머니. “아들을 얻었을 때 그냥 내보낼 수도 있었지만 양심상 도저히 그렇게는 못한” 막이 할머니는 춘희 할머니와 함께 사는 길을 택한다. 아이들은 모두 출가하고 남편마저 떠났지만 두 할머니는 서로의 곁에 남았다.

겉으로만 보면 구시대 악습이 낳은 ‘막장 스토리’ 같다. 하지만 두 할머니의 관계는 함께 견디며 켜켜이 쌓아온 세월의 더께만큼이나 굳건하다. 사사건건 잔소리를 늘어놓지만 막이 할머니는 자기 것 대신 춘희 할머니의 ‘쓰레빠’를 사는 속 깊은 정을 보여준다. 춘희 할머니는 또 어떤가. 교회에서 고아준 닭을 막이 할머니에게 먹일 기쁨에 들떠 종종걸음으로 집으로 달려온다. “내는 벌써 먹었다. 식기 전에 얼릉 먹어라.” 퉁명스런 그 말 한마디가 둘 사이에 흐르는 마음을 전한다.

특별한 스토리랄 것도, 연출이랄 것도 없다. 그저 농사짓고, 밥을 해 먹고, 장을 보는 두 할머니의 일상을 천천히 비출 뿐이다. 대사도 거의 없다. 두 할머니의 속마음은 ‘말’이 아닌 ‘투박한 행동’으로 표현된다. 고랑고랑 파인 주름과 구부러진 허리가 함께 살아낸 신산한 애증의 세월을 증명할 뿐, 둘 중 누구도 지난 46년 세월을 한탄하지도 푸념하지도 않는다.

하지만 영화는 어느새 ‘고요한 감동’을 전한다. 그 어떤 법으로도, 도덕으로도 심판할 수 없는 두 할머니의 삶, 그 신뢰와 정이 스크린을 타고 흐른다. 배경 설명이 없다면 늘 투닥거리면서도 서로를 아끼는 모녀나 자매 사이 같다. 병원에서 의사가 “(김춘희씨) 어머니 되세요?”라고 묻자 막이 할머니가 “(이이가) 우리 영감 세컨부(세컨드)요!”라고 답하는 장면에 이르러서야 이 ‘동거’가 얼마나 기막히고 얼토당토않은 일인지 새삼스레 다가올 정도다.

영화는 독립 피디 출신인 박혁지 감독이 2009년 오비에스 다큐 <가족: 여보게, 내 영감의 마누라>에서 다뤘던 소재를 다시 영화화한 작품이다. 박 감독은 2년간의 긴 재촬영을 통해 할머니들의 거칠고 느린 움직임을 하나의 이야기로 엮어냈다. 방송 프로그램 제작으로 다져진 스토리텔링 능력이 빛을 발한 셈이다. 박 감독은 얼마 전 할머니들을 다시 찾아 막이 할머니의 구순 잔치와 영화 상영회를 함께 열었다. 막이 할머니는 영화 포스터를 보고 “못나게 나왔으니 어디에 가져다 쓰지 말라”고 당부했다고 한다. <워낭소리>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못지않은 먹먹한 울림과 감동을 주는 <춘희막이>. 흥행면에서도 두 작품을 뛰어넘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올해 전주국제영화제 경쟁 부문에 올라 씨지브이 아트하우스 배급지원상을 수상하는 등 이미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펀딩21(funding21.com/project)을 통한 소셜펀딩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 30일 개봉.

유선희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