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강우석 감독, “ IQ에 비해 너무 머리를 굴린 영화”

등록 2005-02-01 09:55수정 2005-02-01 09:55

<한겨레>자료사진
<한겨레>자료사진
지난달 29일 만난 강우석 감독은 어딘가 지쳐보였다. 트레이드마크인 `생생함'은 여전했지만 왠지 모르게 구석구석 빈자리가 느껴졌다.

`공공의 적2'의 개봉 사흘째. 관객은 예상대로 `무섭게' 들고 있었다. 하지만그는 마냥 좋아할 수가 없었다. 이날 새벽 시네마서비스 직원이 과로사로 사망했기 때문이다.

시네마서비스의극장 체인인 프리머스에서 일하던 30대 후반의 직원이었다. 강 감독은 "지금 개봉이고 뭐고 너무 마음이 아프다"며 짧은 한숨을 내쉬었다. 이날의 풍경은 현재 시네마서비스의 상황을 상징하는 한 단면 같았다.

힘들게힘들게 버티고 있는 한국영화계의 자존심. `실미도' 1천만명의 영광은 이미 역사의 뒤안길로 숨어버린 지 오래. 지금 시네마서비스는 `공공의 적2'에 올인한 상황이다.

2004년에 `실미도'가 그랬듯, 2005년은 `공공의 적2'의 성패가 시네마서비스의 `1년 농사'를 좌지우지 할 것이다. 장례식 문제로 정신이 없다는 그와 `번개 미팅'을 했다. 하지만 워낙 속사포로 말을 쏟아내는 그이기에 1시간은 족히 이야기한 것 같다.

다음은 일문 일답.

--말이 나왔으니 말인데 프리머스는 언제까지 운영하나.
△2006년 말에 CJ랑 다시 이야기하기로 했다.

--지금 상태가 어떤가. 지쳐 보인다.
△작년에 CJ와 협상하면서 지쳤다. 그래서 탈출구로 영화나 찍자고 생각했고.이제는 진짜 감독이 된 것 같다. 찍으면서 아주 좋았다. 1년에 한편씩은 찍으려 한다. 후배들한테도 그렇게 독려한다.


세계에서 가장 바쁜 감독이 누구인 줄 아나. 스티븐 스필버그다. 최고 흥행 감독인데 계속 찍지 않나.(시네마서비스에는 김상진 장윤현 한지승 장진 박정우 등의감독이 `인 하우스'로 들어와있다.)

--`실미도'로 번 250억원이 순식간에 없어지더라. `공공의 적2'가 그래서 중요한 것 아닌가.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우리가 돈을 싸들고 다니는 줄 안다. 하지만 후속작(`썸' `하류인생' `아홉살인생' `홍반장' 등)이 줄줄이 망하면서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공공의 적2'가 정말 중요하다.

--`공공의 적2'가 1편보다 반응이 좋은가.
△물론이다.1편보다 훨씬 반응이 좋다. 1편 때는 단순히 `재미있다'는 반응이었는데, 이번에는 후련하고 통쾌한 모양이다.

--하고 싶은 말이 많았던 것 같다. 1편보다 훨씬 설교적이다.
△관객들이 영화로 안 보고 너무 사실적으로 보니까 좀 두렵다. 너무 잘난척 하는 것으로만 보일 것 같기도 하고…. 그래서 당분간은 `공공의 적'에 대해 얘기하고싶지 않다.

영화를 잘못보면 부자를 공격하는 것 같은데 그게 아니지 않나. 있다고 없는 사람들 얕보거나 짓밟지 말라는 거다. 나야말로 착한 부자가 되고 싶은 사람이다. 물론 영화에는 내 `외침'도 담겨있다.

내 IQ에 비해 너무 머리를 굴린 영화다. 촬영도중 스텝들이 "감독님 머리에서 연기 나요"라고 하더라.(웃음)

--후속작은 세금 관련 이야기라고 했는데 언제 들어가나.
△추석 쯤 찍으려고 한다.

--`투캅스4' 얘기도 있다.
△안성기, 박중훈 두 배우와 이야기를 했는데 진짜 시나리오가 좋으면 하자고 했다. 괜히 어줍짢게 들어가서 욕먹을 생각은 없다.

--올해도 할일이 많겠다.
△일단 8월에 액션스쿨이 보라매공원에서 쫓겨난다. 사실 액션스쿨은 나와 직접적으로 상관은 없지만 보름자리를 만들어줘야 한다. 영화를 위해 애쓰는 사람들이오갈데 없다는 소식을 듣고 어떻게 가만히 있겠는가. 강우석 아카데미도 재정 상태가 너무 안 좋고…. 궁극적으로는 영화 학교를 하나 남기고 싶다.

영화인 출신 중에서도 존경받는 부자가 하나 나와야 하는 것 아닌가.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