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손예진 “서툰 첫사랑의 손길, 제가 봐도 예쁘던걸요”

등록 2018-03-20 05:00수정 2018-03-20 11:46

원조 ‘국민 첫사랑’ 손예진의 귀환

영화 ‘지금 만나러 갑니다’ 통해
7년 만에 사랑이야기로 복귀
멜로 흥행작 ‘건축학개론’ 넘어
개봉 첫주 박스오피스 1위

“‘클래식’ 속 풋풋한 여고생 같은
연기는 이제 못하겠지만
관객들 첫사랑 소환은 자신있죠”
배우 손예진. 엠에스팀엔터테인먼트 제공
배우 손예진. 엠에스팀엔터테인먼트 제공
봄에 피는 아지랑이처럼 일렁이는 ‘첫사랑’의 아찔한 순간을 그려낸 영화 한 편이 간절한 계절이다. 오랜만에 찾아온 멜로영화 <지금 만나러 갑니다>가 반가운 이유다. 더구나 <연애소설>(2002), <클래식>(2003), <내 머리 속의 지우개>(2004)로 관객의 마음을 적셨던 손예진(36) 아닌가. 따뜻한 3월 둘째 주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서 마주한 손예진은 “봄바람 난 처녀처럼 설렌다”고 했다.

“멜로를 저의 ‘주 종목’이라고 해주시고, ‘반갑다’고 해주시니 기뻐요. 저만큼 관객도 순수한 감정에 목말라했구나 싶어 다행이고요. 그동안 멜로영화 참 없었잖아요? 시나리오가 꽤 들어왔는데, 중간에 기획이 무산되는 경우도 많았어요.” 최근 남성 중심 범죄오락물이 대세였던 충무로에 여배우를 앞세운 사랑 이야기는 설 자리가 없었다. ‘멜로 퀸’으로 불리는 손예진 역시 <오싹한 연애>(2011) 이후 7년 만이다.

배우 손예진. 엠에스팀엔터테인먼트 제공
배우 손예진. 엠에스팀엔터테인먼트 제공
손예진은 “비 오는 날 돌아온다”는 약속을 남기고 세상을 떠났다가 1년 만에 기억을 잃은 채 나타난 엄마이자 아내인 ‘수아’ 역을 맡았다. 풋풋한 20대 대학생에서 모성 넘치는 30대 엄마의 모습까지 다소 넓은 스펙트럼의 연기를 소화해냈다.

“아직도 <클래식>이나 <내 머리 속…>을 기억하시더라고요. 그땐 데뷔 초여서 무조건 열심히 하는 ‘신입사원’ 느낌이었달까. 신선함과 풋풋함은 있었지만, 큰 그림은 볼 줄 몰랐어요. 이번 영화에선 카메라가 수아라는 캐릭터에게 아주 가까이 다가가지 않아요. 때론 아들 지호의 시선으로, 때론 남편 우진의 시선으로 비치는 거죠. ‘이런 느낌으로 만들어지겠구나’ 상상이 가더라고요.” 얼마 전 <클래식>을 다시 봤다는 손예진은 “아기자기한 풍경과 귀를 간지럽히는 음악, 설레는 대사가 주는 느낌이 까마득하더라”며 <지금 만나러…>가 관객의 향수를 불러일으킬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겼다고 했다.

배우 손예진. 엠에스팀엔터테인먼트 제공
배우 손예진. 엠에스팀엔터테인먼트 제공
손예진은 <지금 만나러…>의 명장면으로 버스정류장에서 우진(소지섭)과 수아가 손을 잡는 신을 꼽았다. 사랑에 서툰 어린 시절을 떠오르게 하는, ‘원조 국민 첫사랑’ 손예진의 진가가 살아나는 장면이다. “그 망설임과 설렘은 누구나 경험하잖아요. 대본엔 담백하게 적혀 있어 잘 몰랐는데, 찍고 나서 모니터하니 참 예쁘더라고요. 하하. 현장 스태프도 다 추억에 잠기던데, 관객의 첫사랑도 소환하지 않을까요?” 자신의 입으로 “예쁘다”는 말을 뱉은 것이 겸연쩍은 듯 그는 사족을 덧붙였다. “고등학생 연기는 이제 안 돼요. 아역이 대신 잘해줬어요.(웃음) 20대 초반 모습이 가능할까 걱정도 했는데, 후반 작업(컴퓨터그래픽)의 힘을 믿었어요. 어떻게든 해주겠지. 하하.”

일본판에 견줘 한국판은 웃음 코드가 훨씬 더 많다. “제가 개그 욕심이 좀 남달라요. 하하. 제 인생의 변곡점이 된 영화가 <작업의 정석>이라면 대충 아시겠죠? 이번 영화는 결국 슬플 수밖에 없는 이야기라 초반엔 웃음을 좀 드리고 싶었어요. 웃음 속 눈물, 눈물 속 웃음으로 힐링하면 좋겠네요.”

배우 손예진. 엠에스팀엔터테인먼트 제공
배우 손예진. 엠에스팀엔터테인먼트 제공
어느덧 데뷔 18년 차에 접어든 손예진. 책임감도 남다를 수밖에 없다. “<해적>도 <덕혜옹주>도 그해 여름 거의 유일한 여배우 영화였어요. 요즘엔 제가 선수가 돼 이어달리기하는 기분이랄까? 대신 혼자 고군분투하는 것은 아니니까. 더 많은 계주 주자가 생기면 좋겠어요.” <지금 만나러…>는 다행히 흥행 청신호를 켰다. 14일 개봉해 첫 주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했다. 누적 관객수도 88만여명으로, 역대 멜로 최대 흥행작 <건축학개론>(411만여명)의 71만여명을 뛰어넘었다.

“20대엔 일만 했어요. 늘 자신을 달구고 채찍질했죠. 그러다 보니 30대가 훌쩍 넘어 40대를 바라보네요. 20대의 내가 예뻤고 열심히 살았다는 걸 느끼지 못한 게 아쉬워요. 이젠 여유롭게 일도, 삶도 즐겨야죠.” 말은 그렇게 하면서도 스케줄은 빈틈이 없다. 이달 말엔 안판석 피디의 드라마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로 안방극장을 찾는다. 영화에 대한 욕심도 아직 끝이 없다. “<라라랜드>나 <물랑루즈> 같은 뮤지컬 영화? 동화같이 아름다우면서도 현실적인 사랑 이야기를 꼭 해보고 싶어요.” 아차! 손예진의 또 다른 별명이 소처럼 일한다고 해서 ‘소예진’이란 걸 깜박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