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눈감아도 무섭고 눈떠도 무서워…‘공포영화 흥행법칙’ 4가지

등록 2019-04-09 14:11수정 2019-04-09 20:11

‘프로디지’ ‘공포의 묘지’ ‘요로나의 저주’ 등
‘어스’ 성공 속에 올봄 공포물 잇따라 개봉

성공하는 공포영화엔 반드시 이유 있어
①참신한 소재·형식의 차별화로 눈길
②해석논쟁 불붙어 N차 관람 유발
③제임스 완, 조던 필…이름값으로 승부
④찰떡같이 입에 붙는 홍보 문구도 필수
영화 <어스>의 한 장면. UPI제공
영화 <어스>의 한 장면. UPI제공
‘지금 눈을 감는 것도 무섭고, 눈을 뜨는 것도 무섭다.’

지난달 27일 개봉한 <어스>는 첫날 21만여명을 동원하며 외국 공포영화 오프닝 최고 기록을 갈아썼다. 앞서 213만명을 동원한 <겟 아웃>(2017) 조던 필 감독의 신작으로 화제를 모은 이 작품은 개봉 3주차에 접어든 8일까지 박스오피스 4위, 누적관객수 136만여명을 기록 중이다.

바야흐로 공포영화 전성시대다. 최근 몇 년 새 ‘공포=여름’이란 공식을 무너뜨리고 4계절 내내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있는 호러물은 20~30대는 물론 10대 후반 관객까지 끌어들이며 깜짝 흥행에 성공하고 있다. 외국 영화로는 <겟 아웃>(213만), <애나벨: 인형의 주인>(193만), <컨저링>(226만), <해피데스데이>(138만), <더 넌>(101만), 한국 영화중엔 <곡성>(687만), <검은 사제들>(544만), <곤지암>(276만), <사바하>(240만) 등이 바로 그 사례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올봄에도 <어스>의 뒤를 이어 <프로디지>(4일), <공포의 묘지>(11일), <요로나의 저주>(17일) 등 공포영화가 개봉 소식을 속속 알리고 있다.

그렇다면, 봇물 터지듯 쏟아지는 공포영화 중 흥행에 성공하는 작품들엔 어떤 특징이 있는 걸까? 최근 적중하고 있는 ‘공포영화의 흥행 법칙’을 짚어본다.

영화 <요로나의 저주>의 한 장면. 워너브라더스코리아 제공
영화 <요로나의 저주>의 한 장면. 워너브라더스코리아 제공
첫번째는 차별화된 소재와 형식이다. 흑백 인종갈등이라는 참신한 소재를 공포영화에 응용한 <겟 아웃>이나 이보다 한발 더 나아가 이민자 문제·계층 문제·국경문제 등 다층적인 미국의 사회 문제를 소재로 끌어들인 <어스>가 대표적이다. 소재는 다소 뻔해도 형식이나 진행방식이 새롭다면 그 역시 관객을 끄는 매력 포인트가 될 수 있다. ‘폐건물 공포체험’이라는 흔하디흔한 소재지만, 이를 ‘1인칭 고프로(미니 캠코더)를 통한 온라인 생중계’라는 형식에 담아낸 <곤지암>, 역시 ‘반복되는 죽음’이라는 낡은 소재를 ‘주체적인 여성 캐릭터의 분투’로 풀어낸 <해피데스데이> 등이 그 사례다. 김봉석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프로그래머는 “사실 몇몇 작품을 빼곤 공포영화가 색다른 소재를 택한 경우는 많지 않다. 퇴마, 타임 루프, 공포체험, 사이비 종교 등 전통적인 소재라도 요즘 1020세대의 눈높이와 구미에 맞는 새로운 방식으로 풀어내는, 한 끝 차이가 공포영화의 성공 열쇠”라고 짚었다.

영화 <프로디지>의 한 장면. 판시네마(주) 제공
영화 <프로디지>의 한 장면. 판시네마(주) 제공
두번째는 ‘엔(N)차 관람’을 부르는 ‘의미·해석 논쟁’이다. 최근 공포영화 흥행작 중에서는 ‘한 번 봐서는 도저히 그 의미를 정확히 해석할 수 없다’는 평가가 나오는 작품이 많다. <곡성>, <겟 아웃>, <사바하>, <어스>는 모두 이런 사례다. 최근작 <어스>의 경우, 개봉 즉시 ‘어스 해석’, ‘어스 상징’ 등이 포털검색어 상위권에 랭크되며 자발적인 ‘바이럴 마케팅’의 힘을 증명했다. <어스>의 홍보사인 호호호비치 관계자는 “가위·토끼 등 영화 속 오브제나 대사의 의미 등에 관한 논쟁이 붙으면서 자연스럽게 엔차 관람을 유도한 듯하다”며 “요즘 홍보·마케팅 쪽에서는 유튜브 등에 ‘공포영화 ○○ 완전 분석’ 등과 같은 자발적 영상이 올라오느냐를 흥행의 신호탄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세 번째는 ‘레이블’(상표·브랜드)의 중요성이다. ‘컨저링 유니버스’로 대표되는 제임스 완 사단, <겟 아웃>에 이어 <어스>까지 흥행작 반열에 올린 조던 필, 공포영화의 신흥 명가 블룸하우스 등 레이블은 이제 흥행의 보증수표가 되고 있다. 유피아이(UPI) 관계자는 “조던 필 감독은 이미 한국에서 팬덤이 형성됐다. 한국 관객이 ‘조던 필’의 발음을 본 떠 ‘조동필’이라는 한국 이름을 지어준 것은 애정의 표현”이라며 “조던 필 감독도 이 한국 이름을 자신의 트위터에 올리고, 한국어로 ‘<겟 아웃>은 미국이 낳고 한국이 키웠다’는 인사를 전하는 등 팬들의 사랑에 적극 호응한다”고 전했다.

영화 <공포의 묘지>의 한 장면.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영화 <공포의 묘지>의 한 장면. 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마지막은 ‘입에 쫙 붙는 홍보 문구’다. ‘무서운 장면 없이 무섭다’(<컨저링>), ‘죽을 만큼 무섭지만 죽진 않는다’(<더 넌>) 등이 대표적이다. 한 영화 홍보사 관계자는 “<에일리언>(1979)의 ‘우주에서는 아무도 너의 비명소리를 들을 수 없다!’(In space no one can hear you scream),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1968)의 ‘그들은 죽은 채로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다!’(They won’t stay dead) 등 클래식 공포영화의 헤드 카피는 지금 봐도 인상적이다. 현재의 젊은층을 사로잡을 수 있는 강렬한 한 마디를 뽑아낼 수 있느냐가 흥행을 가르는 또 하나의 요소”라고 말했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