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정성일 평론가 “제 러브레터, 임권택 감독님께 보냅니다”

등록 2019-12-25 19:14수정 2019-12-26 02:40

임권택 다큐 연작 ‘백두 번째 구름’
영화 ‘화장’ 촬영 현장 생생히 담아

1986년 11월 둘째 화요일 오전 11시
쉰 살 감독과 만난 20대의 평론가
뒤통수 얼얼한 깨우침을 얻었고
촬영장 쫓아다니며 새 모습도 봤죠

영화를 찍는 시간과 기다림의 시간
그의 삶은 두 가지 시간밖에 없구나
둘로 나눈 다큐, 촬영에만 5년…
스태프들 향한 헌사이기도 합니다
임권택 감독이 영화 <화장>을 찍는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백두 번째 구름> 한 장면. 영화사 키노 제공
임권택 감독이 영화 <화장>을 찍는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백두 번째 구름> 한 장면. 영화사 키노 제공

정성일 평론가는 ‘임권택 전문가’다. 30년 넘게 임 감독에 대해 말하고 써왔다. <한국영화연구1: 임권택>(1987)을 시작으로 여러 책을 썼고,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KMDb)에 ‘임권택X102’ 꼭지를 7년째 연재중이다. 급기야 다큐멘터리영화까지 찍었다. 직접 연출한 <녹차의 중력>을 지난달 28일 개봉한 데 이어, 그 후속작이면서도 별도 영화인 <백두 번째 구름>을 26일 개봉한다. 왜 이토록 파고드는 걸까?

“제가 감독님을 처음 뵌 게 1986년 11월 둘째 주 화요일 오전 11시 남산의 찻집 ‘난다랑’에서였어요.” 지난 22일 서울 마포구 한겨레신문사 사옥에서 만난 정 평론가는 그날을 정확히 떠올렸다. 새파란 20대 평론가를 마주한 쉰살의 임 감독은 “나한테 뭐 들을 얘기가 있겠어요?” 되물었다. “그땐 그 말씀이 겸양의 뜻인 줄 알았어요. 나중에야 깨달았죠. ‘어린 친구가 내 우여곡절을 알아들을 수 있을까?’였다는 걸요.” 이제 예순이 된 정 평론가가 말했다.

임권택 감독이 영화 &lt;화장&gt;을 찍는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lt;백두 번째 구름&gt;을 연출한 정성일 평론가.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임권택 감독이 영화 <화장>을 찍는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백두 번째 구름>을 연출한 정성일 평론가.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정 평론가는 중·고등학생 때부터 ‘시네필’(영화광)이었다. 여러 나라 영화를 즐겨 보면서도 한국 영화만은 자기 기준에 못 미친다는 이유로 싫어했다. 대학생이 된 뒤에야 한국 영화를 알아야겠다는 의무감으로 조금씩 보기 시작했다. 어느 날 휴강 시간에 학교 앞 극장에 가 무작정 영화를 봤다. “한국 영화였어요. 처음엔 별로여서 망했구나 싶었는데, 어느 순간부터 전에 보지 못한 이상한 리듬감으로 흘러가더라고요. 장면이 무척 아름답고 기품 있었어요. 끝나고 무슨 영화인지 보니 임권택 감독의 <족보>였어요. 앞으로 이 감독 영화는 다 보겠다고 결심했죠.”

임 감독 영화를 보면 볼수록 호기심이 불어났다. “영화가 굉장히 아름다운데 책에서 읽은 서구 영화이론으론 설명이 안 되는 거예요. 이 사람은 어떤 예술가인지 만나고 싶어졌어요.” 그러던 중 한국 영화 감독 총서를 만드는 쪽에서 필자로 참여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김기영·유현목 등 쟁쟁한 감독을 두고 임 감독을 맡겠다고 했다. 그래서 성사된 게 1986년 첫 만남이었다. “감독님의 굴곡진 삶이 한국 근현대사와 그렇게 겹칠 거라곤 미처 몰랐어요. 연좌제가 있던 시절, 부모님이 빨치산이었다는 얘기를 힘겹게 꺼내셨어요. 서울로 올라와 먹고살려고 충무로에 발을 들인 게 오늘로 이어진 거죠.”

임권택 감독이 영화 &lt;화장&gt;을 찍는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lt;백두 번째 구름&gt; 스틸컷. &lt;화장&gt; 주연배우 안성기(왼쪽)와 임권택 감독. 영화사 키노 제공
임권택 감독이 영화 <화장>을 찍는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백두 번째 구름> 스틸컷. <화장> 주연배우 안성기(왼쪽)와 임권택 감독. 영화사 키노 제공

그는 인터뷰에서 뒤통수를 후려맞는 듯한 깨우침을 얻었다 했다. <길소뜸>(1986)을 보면, 주인공(강신성일)이 옛 연인(김지미)을 만나고 와서 잠자리에 드는 장면이 있다. 눈먼 아내가 묻는다. “당신, 그 여자 만났죠?” “아, 참, 그 사람….” 임 감독은 장면을 끊지 않고 길게 끄는 롱테이크로 이를 찍었다. “책에서 읽은 롱테이크 미학은 인물들 표정을 길게 잡아 교감을 보여주고 어쩌고 하는 거거든요. 그런데 여기서 아내는 화면에 안 잡히고 남자는 등만 보여요. ‘이걸 롱테이크로 찍은 이유는 뭡니까?’ 물으니 감독님이 그랬어요. ‘한국 사람의 염치죠. 부끄러운 얼굴을 빤히 들여다보지 못하는 것. 그래서 그렇게 찍었어요.’ 부끄러웠어요. 내가 아는 지식이란 게 얼마나 보잘것없는지…. 나는 영화만 봤지, 영화가 삶을 찍는다는 사실을 잊고 있었던 거예요.”

인터뷰와 비평만으론 충분치 않다고 여긴 그는 촬영 현장도 꾸준히 찾았다. 2002년 <취화선> 현장에서 그는 임 감독의 새로운 면모를 봤다. 모든 스태프를 오케스트라처럼 지휘하면서 매 순간 총체적 결단을 내리는 그 과정을 전하고 싶었다. 글로는 안 되겠다 싶어 영화로 찍어야겠다고 마음먹었다. 이후 꼬박 10년을 기다려 카메라를 잡은 게 2012년이었다. 금세 마칠 줄 알았는데, 임 감독의 새 영화들이 계속 엎어지는 바람에 결국 촬영만 5년을 했다.

임권택 감독이 영화 &lt;화장&gt;을 찍는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lt;백두 번째 구름&gt; 한 장면. 영화사 키노 제공
임권택 감독이 영화 <화장>을 찍는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백두 번째 구름> 한 장면. 영화사 키노 제공

“지켜보니 이분 삶은 영화를 찍는 시간과 영화 찍기를 기다리는 시간밖에 없구나 하는 걸 느꼈어요. 이걸 100번 넘게 반복하신 분이니 기다림의 시간 자체가 당신 삶의 절반이요, 영화를 만드는 시간의 일부겠구나 하는 데까지 닿았죠.” 애초 한 편으로 계획했던 영화를, 새 영화를 찍기까지 기다리는 시간을 담은 <녹차의 중력>과 임 감독의 백두 번째 영화 <화장> 촬영 현장을 담은 <백두 번째 구름>으로 나눠 완성한 까닭이다.

<백두 번째 구름>을 보면, 일사불란한 ‘임권택 시스템’ 안에서 임 감독이 어떻게 배우·스태프와 교감하고 결단을 내리는지, 세밀한 순간들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정 평론가는 “이 영화는 임 감독님에게 보내는 러브레터이자 열악한 현장에서 애쓰는 한국 영화 스태프에 대한 헌사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임 감독을 배우고자 하는 이들이 도구상자처럼 꺼내 보는 영화였으면 한다”는 바람도 나타냈다. 그는 영화 개봉 이후 <녹차의 중력>까지 아우르는 ‘관객과의 대화’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서정민 기자 westm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