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차관 “영화계 집단 이기주의”…한-미 FTA 관련 외교부 “풀고 가야”
영화계 “축소발언 비상식적”
영화계 “축소발언 비상식적”
노무현 대통령이 새해 연설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선언하면서 한-미 자유무역협정의 마지막 관문으로 인식되고 있는 ‘스크린쿼터’(국산영화 의무상영제) 문제가 또다시 논란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김현종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은 20일 한-미 자유무역협정 관련 브리핑에서 “한-미 자유무역협정은 여건이 형성되면 협상을 시작할 것”이라며 “8년 된 스크린쿼터 문제는 풀고 가야 한다”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그러나 스크린쿼터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조정할 것인지에 대해선 “아직 미국과 협상을 시작한 게 아니다”라며 “문화관광부가 영화계와 협상해 안을 마련해 오면 그 안을 갖고 협상에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스크린쿼터는 문화관광부 소관인 영화진흥법에 명시돼 있다. 시행령으로 보장된 현행 스크린쿼터 비율은 146일(1년의 40%)인데, 미국은 절반인 73일(1년의 20%)로 줄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스크린쿼터 문제는 한-미 자유무역협정 협상의 또다른 난제였던 미국산 쇠고기 수입재개 문제가 최근 타결됨에 따라 더욱 도드라져 보이는 상황이다. 게다가 미국 정부가 의회로부터 위임받은 신속협상체결 만료기한이 내년 6월이고, 의회가 통상 석달간의 사전검토를 거치는 까닭에 양국 정부는 일정에 쫓기는 상황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