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영화·애니

설날 볼 만한 만화

등록 2006-01-25 17:15수정 2006-01-26 17:11

골목길 풍경 낯선 즐거움
미술관의 걸작보다 골목길 풍경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있다. 골목길처럼, 만화 가운데에서도 잘 드러나지 않는 또 작은 만화들이 있다. 무턱대고 꺼릴 예술 만화들이 그렇지 않을까. 하지만 그 맛, 그 재미, 아는 이들은 안다. 골목길 여행처럼 낯선 즐거움을 이번 설에 만나게 되길 바란다.

<미스터 오>(루이 트롱댕 지음·샘터사 펴냄)=영원히 바위를 굴려야 하는 시지프스처럼 동그라미씨(미스터 오)는 운명처럼 절벽 넘어 저쪽으로 가려 한다. 30개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미스터 오>는 절벽을 건넌다는 단순한 설정으로 얼마나 다양한 상황이 가능한가 보여준다. 절벽의 골을 돌멩이로 가득 메워보기도 하고 인간 대포가 되어 보기도 하지만, 언제나 그러하듯 막 성공의 환호를 내지르려는 찰나, 시도는 물거품이 된다. 게다가 갖은 고생을 하고 건넌 절벽 저쪽이 섬처럼 오갈 데 없는 또 다른 절벽이었다면…. 단조로운 설정, 단순한 캐릭터로 매번 절벽을 건너야 하는 우리네 삶을 유쾌하게 은유한다.

<헤이, 웨잇…>(제이슨·새만화책)=죽음의 순간, 눈 앞으로 살아온 인생이 주마등처럼 지나간다고 한다. 모든 삶의 여정은 기억으로 환원되고 그 조각들이 모여 한 편의 만화가 되는 것이다. 그렇게 모든 사람이 인생의 마지막 순간에 자신에 대한, 자신만을 위한 만화를 완성한다. 노르웨이의 꺽다리 만화가 제이슨의 <헤이, 웨잇…>은 기억의 조각들로 징검다리를 놓아 만든 만화이다. 단짝 친구, 욘과 비욘의 솜사탕처럼 달던 어린 시절이 포말처럼 사라지는 순간이 애잔하게 펼쳐진다. 70쪽 분량의 이 징검다리를 건너고 나면 다리와 그 사이를 지나는 인생의 강이 눈에 들어올 것이다.

<찻물 우려내기>(스테판 반 딘더·allow-to-infuse.com)=칸은 시간과 공간을 담고, 말풍선을 정신을 담는다. 만화가는 연금술사가 되어 한 곳에 칸과 말풍선을 올려 놓고, 새 언어와 문법을 창조한다.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고 설치미술과 미디어아트, 만화를 오가며 작업해온 반 딘더가 만들어내는 세계는 만화 언어가 디지털 미디어를 통해 만화 얼마나 확장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그의 실험이 흥미를 잃지 않는 것은 형식을 견고히 하는 내용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차를 우려내는 짧은 순간, 우리의 머릿속을 관통하는 것은 무엇인가. 지금 접속해보시라.

<아날로그 맨>(김수박·//blog.naver.com/orpeo74.do)=발신지 없는 편지를 받아들고 다부동 숲 속으로 숨어 버린 옛 친구 칠칠이를 찾아 헐랭이(만화가 김수박)는 길을 떠난다. <아날로그 맨>은 서울에서 다부동까지의 여정을 그리는 ‘로드 코믹스’이지만, 우선 이야기는 내가 서울에서 경험한 지난 삶에 초점을 맞춘다. 이제 곧 다부동에 도착할 테고, 친구의 삶을 들을 차례이다. 헐랭이의 여정이 헛되지 않을 거란 믿음이 가능한 건 그 발걸음이 현실 위를 걷고 있어서이다.

<페르세폴리스> 1권(마르잔 사트라피·새만화책)=압바스 키아로스타미, 모흐센 마흐말바프의 영화들과 이슬람의 가장 종교성 강한 수아파 근본주의, 그리고 고작해야 테헤란로 정도를 통해서만 상상되던 이란의 이미지는 <페르세폴리스>를 통해 현실성을 얻게 된다. 부르주아, 왕족의 후예, 지식인, 여성으로서 마르잔 사트라피가 들려주는 이란의 이야기는 자신이 사는 곳만큼 남들이 사는 곳도 충분히 아름답고 인간다운 곳임을 일깨워준다.

<손바닥 동화> 1, 2, 3(오나리 유코·민음사)=비 내리는 바닷가를 걷다가 파도 속에서 실연 당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한다. 거대 흑곰이 눈 오는 겨울밤에 벽장에서 겨울잠을 자겠다며 찾아온다. 언니 새의 차분한 목소리를 부러워하던 작은 새 루루에게 언니는 ‘네 투명한 목소리가 좋았어’라고 말한 뒤 떠나간다. 오나리 유코가 부끄러워하며 그려낸 <손바닥 동화>의 짧은 이야기들은 별처럼 빛나고, 바람처럼 시원하며, 햇살처럼 따스하게 헐거운 마음들을 어루만진다. 무뚝뚝 고집불통으로 나이 들어가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읽어 보시라. 동화의 단맛에 인생의 신맛도 함께 맛볼 수 있다.

김대중/만화칼럼니스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