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올리니스트 김계희.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누리집 갈무리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에서 한국인 연주자가 바이올린과 첼로, 성악 등 3개 부문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 조직위원회는 30일 바이올린 부문 김계희, 첼로 부문 이영은, 성악 부문 손지훈이 각각 1등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한국인이 차이콥스키 콩쿠르 기악 부문에서 우승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성악 부문에서는 정인호가 러시아 참가자와 공동 2위에 올랐고, 첼로 부문에서 박상혁이 3위, 목관 부문에서는 플루티스트 김예성이 공동 3위를 차지했다. 피아노 부문 결선에 진출했던 예수아는 4위, 첼로 부문 이동열이 5위를 차지했다.
첼리스트 이영은.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누리집 갈무리
하지만 입상자 대부분이 한국과 러시아 연주자다. 국제콩쿠르 세계연맹에서 퇴출당한 이후 크게 낮아진 이 대회의 위상을 보여준다. 유네스코 산하 국제음악경연대회 세계연맹(WFIMC)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지난해 이 콩쿠르의 회원 자격을 박탈했다. 국내에서도 이 대회 1, 2위 우승자에게 주던 병역 혜택을 부여하지 않기로 했다.
성악가 손지훈.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누리집 갈무리
이번 대회 수상자들 면면을 봐도 러시아와 한국 연주자들이 ‘싹쓸이’하다시피 했다. 특히 피아노에서는 1~3위가 모두 러시아 연주자다. 바이올린에서도 러시아 연주자가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첼로 분야에선 1위부터 6위까지 모두 한국과 러시아 연주자들이다. 중국 연주자가 성악 부문 3위, 피아노와 바이올린 부문에서 4위에 올랐을 뿐이다.
1958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창설된 이 대회는 클래식 음악 분야에서 한때 쇼팽 콩쿠르,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와 함께 '3대 콩쿠르'로 불릴 정도로 위상이 높았다.
임석규 기자
sk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