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과 촌장’의 1986년 음반.
한국 팝의 사건·사고 60년 (88) 어떤 날, 시인과 촌장
이른바 ‘언더그라운드’라는 이름은 (주류 기성 시스템과는 달리) 자유를 이상으로 삼는다(고 흔히 생각된다). 구속을 기피하는 자유분방한 개개인의 성향은 (전에 소개한 것처럼) 1980년대 중반께 ‘따로 또 같이’ 활동하는 느슨한 그룹 형태를 낳기도 했고, ‘우리 노래 전시회’처럼 새로운 감성의 신진 세력을 소개하고 결집하는 프로젝트와 공존하기도 했다. 다소 확정적 라인업을 갖춘 들국화도 넓게 보면 이런 프로젝트 형식의 그룹에 가깝다.
이들과 관련된 막내뻘 그룹이 ‘시인과 촌장’과 ‘어떤 날’이 아닐까 싶은데, 이들은 ‘포크 언더그라운드’ 계열로 여러 면에서 ‘조동진 사단’의 계승자이기도 하다. 이들은 기타, 베이스, 드럼(혹은 신시사이저) 등을 갖춘 온전한 밴드 형태는 아니었다. ‘어떤 날’의 경우, 일렉트릭/어쿠스틱 기타의 이병우와 베이스 기타(특히 직접 만든 프레트리스 베이스 기타)의 조동익이 작곡과 노래까지 맡고, 나머지 부분은 세션 연주로 채웠다. 작곡과 노래를 맡은 하덕규와 기타리스트 함춘호가 꾸린 시인과 촌장도 비슷했다.
이들이 이름을 알린 것은 앞서 말한 프로젝트 ‘우리 노래 전시회’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면서부터였다. 이들은 밴드 형식뿐 아니라 노래 내용에서도 자유를 화두로 했다. ‘어떤 날’의 두 사람은 고요하고 여린 보컬과 소박하면서도 예민한 기타로 섬세하고 따듯하게 일상을 소묘하면서 꿈에 대한 동경을 담았다. 적당히 꿈꾸고 적당히 패배적이었다고나 할까. 이처럼 꿈과 이상에 대한 추상적 시어는 두 장의 음반(1986년, 1989년)에서 감각적인 재즈풍 사운드와 공명했다. 대개 언더그라운드 뮤지션들이 음반과 공연을 매체로 삼는 반면, 어떤 날은 음반에 초점을 맞춘 ‘스튜디오 밴드’에 가까웠다. 폭발적 인기를 끌지도 못했고, 다작이나 장수와도 거리가 멀었지만, 이들의 음악은 심야 라디오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잔잔하게 번져 나갔다.
‘시인과 촌장’도 마찬가지다. 이전부터 하덕규가 ‘시인과 촌장’이란 이름으로 활동한 바 있지만 기타리스트 함춘호를 만나 1986년 〈푸른 돛〉, 1988년 〈숲〉 음반을 내면서 주목받았다. 하덕규는 양희은에게 곡(〈한계령〉 〈찔레꽃 피면〉)을 주기도 했다. 시인과 촌장은 주로 비둘기, 고양이, 매, 진달래, 얼음 무지개 등 동물이나 자연물을 노래했는데, 이는 통상의 비유법과는 다르다. 가령 희망과 사랑의 상징으로 치환된 비둘기는 자아 내면의 은유이자 하덕규 자신의 분신이었고, ‘새날’을 꿈꾸는 푸른 애벌레는 섬세한 자아를 가진 소년이었으며, 가시나무는 번뇌하는 구도자의 초상이었다.
이런 프로젝트형 그룹은 느슨하고 자유로웠지만, 그리 오래 유지되지는 못했다. 영적 구원을 갈망하던 시인과 촌장의 하덕규는 이후 음악적 향방을 바꾸었고, 어떤 날은 두 장의 앨범을 낸 후 각자의 길을 걸었다. 이병우는 기타리스트와 영화음악가를 겸직하며 자신만의 ‘음악마을’(무직도르프)을 꾸렸고, 조동익은 세션 베이스 기타리스트이자 음악 프로듀서로 활약하다가 ‘하나뮤직’의 수장이 되었다. 비록 그들의 활동이 시한적이었을지라도 그 영향력은 그들의 음악처럼 잔잔하고도 길었다.
최지선/대중음악 평론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