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거리의 저항 낳은 ‘반골적 보컬’

등록 2008-08-21 19:00

마사 앤 더 반델라스의 <댄싱 인 더 스트리트>(1964년)
마사 앤 더 반델라스의 <댄싱 인 더 스트리트>(1964년)
세상을 바꾼 노래
40 마사 앤 더 반델라스의 <댄싱 인 더 스트리트>(1964년)
발레리노 미하일 바리시니코프와 탭 댄서 그레고리 하인스가 장르 경계를 허물고 동반 출연해 화제를 모았던 영화 <백야>(1985)에서, 춤은 자유를 향한 열망의 형상화로 제시된다. 체제에 억압받는 몸과 속박에 저항하는 영혼이 충돌하는 지점에서 움튼 춤사위가, 현대무용가 마사 그레이엄의 정의처럼, “몸의 정수에 담긴 내밀한 언어”를 드러내는 것이다. 단 한 줄의 정치적 메시지조차 담기지 않았음에도 <댄싱 인 더 스트리트>가 미국 공민권운동의 찬가로 폭발적인 환영을 받았던 이유를 그로부터 유추해볼 수 있다. ‘거리에서 춤출’ 자유의 메타포와 터질 것 같은 에너지의 리듬이 결합하여 만들어낸 시너지를 대중이 읽어냈다는 것이다.

1964년 여름, 빌보드 싱글 차트 2위까지 오른 <댄싱 인 더 스트리트>는 마사 앤 더 반델라스의 최대 히트곡이다. 공민권운동이 절정을 향해 급박하게 치닫던 분위기 속에서 상승기류를 탄 이 노래는, 같은 이유 때문에 필라델피아에서 와츠(로스앤젤레스)까지 인종폭동을 확산시킨 원흉이라는 비난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기도 했다. 하지만 본래 <댄싱 인 더 스트리트>에 정치적 의도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이 노래가 모타운에서 발매되었다는 사실부터가 그렇다. 모타운은 강경파들로부터 “백인에게 흑인을 파는 기업”이라는 불명예스러운 상업주의의 낙인이 찍히기도 했을 만큼 인권운동의 현실로부터 한발 비켜선 자세를 고수한 기업이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노래의 가사는 “사람들이 거리에서 춤을 춘다”는 내용을 시종일관 변주할 뿐이다.

그럼에도 <댄싱 인 더 스트리트>가 정치적 표명으로 받아들여진 이유는 반델라스의 리더이자 리드 보컬리스트인 마사 리브스의 목소리에 녹아들어 있는 반골적 태도에서 기인한다. 윌리엄 스티븐슨과 함께 이 노래를 만든 원작자 마빈 게이가 지적한 바가 그것이다. 그는 반델라스의 ‘색깔’이 “의식적인 것은 아니었다”고 하면서도 “<댄싱 인 더 스트리트>와 같은 노래에서 그들이 포착해낸 핵심이 내게는 정치적으로 느껴졌다”고 덧붙인 바 있다. 결국, <댄싱 인 더 스트리트>에 정치색이 있었다면 그것은 비평가 데이브 마시의 평가처럼 “인권운동의 일환으로서 열정을 가지고 거리에 나선 수많은 미국인들에 대한 언급”이라는 측면에서 “제작 시점의 상황과 결코 완전히 유리될 수 없다”는 태생적 여건에서 비롯했다고 할 것이다. 마사 리브스의 활력 넘치는 보컬이 화학적 상승작용의 촉매로 기능하며 <댄싱 인 더 스트리트>를 저항가로 느끼도록 만들었다는 말이다.

모타운에 가수로 지원했으나 비서로 채용되었던 마사 리브스는 인내와 끈기를 가지고 마침내 자신의 꿈을 관철시켰던 사람이다. 베리 고디의 ‘빅 브러더’ 식 통제에 반발한 최초의 모타운 소속 가수였다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듯, 그는 부당함에 맞서는 당당함을 지닌 인물이기도 했다. 노래는 그런 그의 열망을 형상화한 도구였다. 이 여름 촛불을 들고 거리에 나선 시민들의 몸짓이 말하는 내밀한 언어를 <댄싱 인 더 스트리트>에서 가늠할 수 있다.

박은석/대중음악평론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