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저 허~연 ‘냉장고’는 뭘까

등록 2009-03-30 18:56수정 2009-07-17 19:33

‘연희동 프로젝트’
‘연희동 프로젝트’
이색 갤러리 ‘연희동 프로젝트’
미술 작가들 국외진출 밀어줘
서울 연희동 궁뜰길에 들어선 흰 입방체. 입구도 창문도 없는 것이 거대한 드라이아이스 같다. “아무렴 건물이겠지” 하며 두리번거리면 후미진 뒤쪽에 삼각으로 터진 입구가 보인다. 이름도 희한한 갤러리 ‘연희동 프로젝트’(사진)다.

4~5년이 지나면 주변과 자연스럽게 어울리도록 건물을 지었다는 게 배윤성(39) 대표의 설명이다. 배 대표는 보는 각도에 따라 이미지가 변하는 렌티큘러 작품으로 인기를 얻은 작가 배준성(42)씨의 동생. 미술 작가의 국외 진출을 지원하는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사업을 하고 있다.

지하 1층, 지상 2층에 490여㎡의 전시 공간을 갖춘 콘크리트 건물로 일체의 직사광선을 차단한 것이 특징. 입방체의 꼭짓점을 똑 떼어낸 삼각형 자리에 반투명 강화 플라스틱으로 벙어리 창을 냈다. 낮에는 은은한 빛을 들이고 밤이면 반딧불이처럼 불빛을 낸다. 북향으로 기울어진 2층 옥상의 끝자락 모서리를 똑 떼어내고 커다란 삼각형 천창을 냈다. 천창을 통해 들어온 자연광은 복층식으로 터진 공간과 계단을 통해 1층까지 환하게 비춘다. 천장을 튼 영국의 한 갤러리에서 착안했다고 한다. 상판을 두껍게 하여 1, 2층은 기둥을 없앴지만 1층의 2배 넓이인 지하층은 공간을 둘로 나눈 벽으로 기둥을 삼았다. 어느 공간이고 빼뚤빼뚤하니 직(정)사각형인 게 없다. 층고는 모두 4~5미터. 작품들이 점점 커지는 추세에 맞췄다. 2004년부터 형의 국외 진출을 돕다가 다른 작가들까지 확대되면서 별도의 전시 공간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다고 배 대표는 설명했다.

개관 기념전은 배준성, 김준, 정광호, 홍성철, 김동유, 김홍주, 임영선 등 10명이 참여해 26일부터 5월17일까지 연다. 모두 연희동프로젝트와 관련된 작가들이다. (02)324-1286.

임종업 선임기자 blitz@hani.co.kr


■ 7월 18일 알려왔습니다

‘저 허~연 냉장고는 뭘까?’ 기사에서 ‘연희동 프로젝트 갤러리’의 절단된 모서리 부분 중 계단실 상부의 삼각형 천창이 외국 사례에서 착안되었으며 상판을 두껍게 해 기둥을 없앴다는 내용에 대해, 갤러리 설계자 시스템랩은 건물의 삼각형 천창은 독자적인 아이디어로 설계되었으며 상판이 아닌 벽체를 두껍게 해 건물의 기둥을 없앤 것이라고 알려왔습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