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아바의 선율은 스웨덴 민속음악서 우러났죠”

등록 2009-07-27 21:20

 ‘아바’ 출신 베뉘 안데르손
‘아바’ 출신 베뉘 안데르손
첫 음반 ‘스토리…’ 낸 ‘아바’ 출신 베뉘 안데르손 인터뷰
뮤지컬과 영화로 제작된 ‘맘마미아’의 대성공. 유로 팝 최고의 밴드 아바가 해체한 지도 벌써 30년을 향해가고 있지만 아바 음악의 인기와 효용성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아바(ABBA)의 이름을 구성하는 ‘비’(B)의 한 명이었으며, 현재도 대중들을 사로잡고 있는 ‘아바표’ 멜로디를 만들어낸 베뉘 안데르손이 자신의 새로운 밴드를 이끌고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베니 앤더슨 밴드’의 첫 앨범 <스토리 오브 어 하트>에는 예전 아바를 추억할 수 있는 팝송들과 스웨덴 민속 음악이 고루 섞여 있다. 새 앨범을 내고 다시 활동을 시작한 안데르손을 전화 인터뷰로 만나봤다.

자기 이름 딴 밴드 꾸려 전통음악 전념
‘아바표’ 팝송에 민속음악도 고루 섞여

- 아바가 해체한 뒤로 오랜 시간이 흘렀다. 그동안 어떻게 지냈는지 얘기해 달라.

“계속 음악을 만들어왔다. 스웨덴 민속 음악을 기본으로 한 음악을 만들고 싶었다. 2001년 베뉘 안데르손 오르케스터(Orkester)라는 16인조 밴드를 만들었다. 스웨덴 안에서 스웨덴 사람들을 위한 음악을 만들어왔다.”

- 당신과 아바의 이름은 전세계적으로 유명한데 왜 자국 활동만을 고집했나?

“아바에 있으면서 10년 넘게 투어를 하다 보니 더 이상 여행하고 싶지 않았다. 아바 해체 뒤 내가 하고 싶은 일만 하고 싶었다. 사람은 자신이 하고 싶은 걸 하면서 살아야 행복하다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들과 음악을 하는 건 아름다운 일이다. 스웨덴이건, 한국이건, 전세계 어디에서든 음악을 하는 것 자체가 아름다운 일이다. 그리고 집에 있는 게 편하다. 돈을 위한 것이 아니고 행복을 위한 프로젝트였다.”



<스토리 오브 어 하트>
<스토리 오브 어 하트>
- 새 앨범 곡들을 들으면서 아바 색깔이 나는 노래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아바라는 이름이 여전히 당신 뒤를 따라붙고, 새로 만든 곡들이 계속 아바 음악과 비교되는 것이 부담스럽진 않은가?

“내가 어떻게 할 수 없는 일인 것 같다. 영화 <맘마미아>의 성공 뒤 아바가 부활한 것 같았다. 아바에 있는 동안 난 최선을 다 했고, 아바의 음악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하지만 다른 일을 하는 것에는 제한이 있다. 내가 하는 모든 일들, 지금 내 밴드와 하는 것을 아바의 연장선상으로 보면 안 된다. 완전히 다른 것이다. 지금의 음악은 자연과 사람들의 음악이다. 이 밴드 활동은 내 만족을 위해, 사람들을 즐겁게 해주기 위해서다.”

- 연주곡들에서 드러나는 민속 음악 같은 분위기가 흥미로웠다. 이런 전통적 분위기는 스웨덴 고유의 음악들에서 영감을 받은 것인가?

“그렇다. 내 마음에서 우러나는 음악이다. 전통음악이 많은 감동을 줬다. 내 과거이고 내 조상들이다. 할아버지와 아버지께서 아코디언을 하셔서 내가 6살 때부터 전통 소리를 가르쳐주셨다. 그렇게 시작된 것이 지금까지 나를 따라왔다.”

- 한국에서 아바의 인기는 당신이 상상하는 이상일 것이다. 당신의 새 앨범 소식을 듣는다면 한국 팬들은 무척 기뻐하고 기대할 것이다.

“아쉽게도 한 번도 한국에 간 적이 없다. 몇 년 전에 뷔요른(Bjorn Ulvaeus, 아바의 멤버)에게 서울에서 재밌는 시간을 보내고 왔다는 얘기를 들었다. 내 생각에 우리도 가면 무척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올 것 같다. 언젠가 꼭 방문하고 싶다.”

글 김학선 객원기자 studiocarrot@naver.com, 사진 유니버설 뮤직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