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무이도
‘각도인서’ 김종영 서화전
1천여 점 중 선별한 40여 점
10월8일까지 김종영미술관 한국 추상조각의 개척자 김종영(1915~1982)이 서예를 했다는 사실을 아는 이는 별로 없다. 식구, 제자 등 생전에 그의 집을 드나들던 사람들은 그가 조각하는 시간 외에는 붓을 잡았음을 안다. 50대 후반부터 비로소 서명과 낙관을 찍은 서예를 보고 조각과 함께 전시하자는 권유를 받았지만 “이것(서예)이 다른 것(조각)을 죽일 수 있다”며 거절해 생전에 서예가 공개된 적이 없다. 서울 평창동 김종영미술관에서는 21일부터 10월8일까지 ‘각도인서(刻道人書): 조각가 김종영의 서화’전을 연다. 그가 남긴 서예 작품 1천여점 가운데 40여점을 골라 처음 공개하는 것이다. 작품은 <노자>와 <장자>, <고문진보>의 한시들이 주를 이루며 <대학>, <중용>, <논어>에서도 간혹 뽑아 썼다. ‘천지유대미이불언(天地有大美而不言) 사시유명법이불의(四時有明法吏不議) 만물유성리이불설(萬物有成理而不說) 성인자 원천지지미이달만물지리(聖人者 原天地之美而達萬物之理) 시고지인무위(是故至人無爲) 대성부작 관어천지지위야’(大聖不作 觀於天地之謂也)(<장자> 외편), ‘각조상형이불위교’(刻彫象形而不爲巧)(<장자>), ‘근도핵예’(根道核藝)(<북해상경군비>) 등 그의 예술관을 내보이는 작품이 특히 눈에 띈다. 그는 어려서 할아버지한테 한학을 배웠으며 휘문고보 때는 동아일보 주최의 전국서예대회에서 안진경체로 1등상을 받았다고 한다. 특별히 누군가를 사사하지 않고 독학한 탓에 운필이 자유롭다. 이당 김은호가 그의 글씨를 보고 선필이라고 한 적이 있으며 한 서예가는 법을 넘어선 경지라고 평하고 있다. 조각가 김종영에게 서예는 무엇일까? 이 미술관의 김정락 학예실장은 “그의 서예는 완당과 세잔을 통섭하려는 그의 예술론의 근간”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김종영 조각과 서예는 미니멀리즘 지향적인 점에서 통한다며 직접적으로는 굵은 붓의 움직임과 비슷한 형태의 조각도 눈에 띈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는 김종영 선집의 첫째 권인 <우성 김종영의 서예:서법묵예>(열화당) 출간 기념전이기도 하다. (02)3217-6484. 임종업 선임기자 blitz@hani.co.k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