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문화 음악·공연·전시

호동과 의붓어머니 ‘금지된 사랑’

등록 2009-12-24 18:50

호동과 의붓어머니 ‘금지된 사랑’
호동과 의붓어머니 ‘금지된 사랑’
국립극단 ‘둥둥 낙랑 둥’
최인훈 원작 역동적 연출
올해 연극계는 최인훈 작가의 희곡 세계에 빠졌다. 지난 4월 극단 창파의 <한스와 그레텔>로 시작해 7월 명동예술극장의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11월 동랑레퍼토리의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에 이어 국립극단이 22일부터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둥둥 낙랑 둥>을 올렸다.

최인훈 작가는 전통 설화의 창조적 재해석에 뛰어나다. 설화의 줄거리를 끌어오되 단순 구현에 머물지 않고 풍부한 상상력을 바탕으로 해체, 변주해서 동시대적 설화로 탈바꿈시키는 능력이 탁월하다.

<둥둥 낙랑 둥>은 최인훈 희곡의 특징과 매력이 가장 잘 드러난 작품이다. 호동 왕자와 낙랑 공주의 비극적 사랑으로 널리 알려진 <삼국사기-고구려본기>의 ‘자명고’ 설화에서 모티브를 따왔지만 작품은 공주의 죽음 이후로 뼈대를 짰다. 호동의 의붓어머니와 낙랑 공주가 쏙 빼닮은 일란성 쌍둥이라고 설정한 뒤 두 사람의 금지된 사랑과 파멸로 이어지는 극적 과정을 서사적으로 그려냈다.

<둥둥 낙랑 둥>은 작가보다 한걸음 더 나아간 듯했다. 최치림 연출가는 줄거리와 틀은 유지하되 원작에 없는 주무(이승옥)와 네 무당(남유선, 이은희 등)을 등장시켜 호동과 낙랑의 이루지 못한 사랑을 해원하는 굿판으로 새롭게 옷을 입혔다.

이성과 감정 사이에 갈등하는 두 주인공 역을 맡은 극단 배우 이상직(호동)과 계미경(낙랑), 곽명화(낙랑), 객원배우 이지수(호동)의 연기는 탄탄하다. 왕비와 낙랑 뿐 아니라 주몽으로 현신하는 어미무당까지 1인3역을 소화해낸 두 여배우의 연기가 도드라져 보였다. 그럼에도 작품 전체를 감싼 비극적 분위기와 무거움은 어쩔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연출가는 원작에 없는 전투신을 넣어 극의 역동성을 부여하면서 숨통을 트려 했던 듯하다. 극 마지막의 영혼결혼식이 끝난 뒤엔 실제 무대에 비를 떨어뜨리는 환상적인 연출도 시도했다. 하지만무대 기법보다 극 진행의 강약 조절에 힘을 기울였으면 어떠했을까? 단순한 의사전달 이상을 추구하려는 최인훈 특유의 아름답고 시적인 대사를 효과적으로 살리지 못한 것도 아쉬운 대목이었다. 22~27일, 새해 1월6~14일 공연. (02)2280-4115~6.

정상영 기자 chung@hani.co.kr, 사진 국립극장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문화 많이 보는 기사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1.

‘의인 김재규’ 옆에 섰던 인권변호사의 회고록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2.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작가의 ‘투쟁’을 질투하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3.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억대 선인세 영·미에 수출…“이례적”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4.

노래로 확장한 ‘원영적 사고’…아이브의 거침없는 1위 질주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5.

9년 만에 연극 무대 선 김강우 “2시간 하프마라톤 뛰는 느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