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톤 체호프 ‘벚꽃 동산’
안톤 체호프 ‘벚꽃 동산’
러 연출가 지차트콥스키 작품
봉건귀족 붕괴·계층갈등 그려내 예술의전당이 올해 러시아가 낳은 위대한 소설가이자 극작가 안톤 체호프(1860~1904)의 탄생 150돌을 맞아 그리고리 지차트콥스키(51) 연출의 <벚꽃동산>을 28일~6월13일 토월극장에서 공연한다. 지차트콥스키는 러시아 황금마스크상을 수상한 연출가이다. 이달 초 러시아 말리극장을 이끌고 엘지아트센터에서 <바냐 아저씨>를 선보였던 레프 도진(66)과 더불어 러시아의 최고 현역 연출가로 손꼽히는 인물. 그는 2004년에도 예술의전당 토월극장에 <갈매기>를 올려 국내 연극계에 신선한 충격을 안기며 ‘올해의 연극상’, ‘동아연극상 특별상’, ‘올해의 연극 베스트3’을 수상하기도 했다. 체호프는 연극이란 ‘인생 그 자체’이며 인생을 탐구하는 것을 근본 목적으로 삼는다. 그의 4대 희곡 <갈매기>와 <바냐 아저씨>, <세 자매>, <벚꽃동산>에는 일상적이며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는, 그러면서도 알 수 없는 인생의 내적 아이러니가 담겨 있다. 특히 체호프가 죽기 한해 전인 1903년에 쓴 <벚꽃동산>은 19세기 말 러시아 봉건 귀족의 붕괴와 그 과정에서 떠오른 계층 갈등을 그린 작품이다. 과거의 습관과 낭비벽으로 벚꽃동산을 잃는 여지주 라넵스카야 부인과 자립심 없는 그의 오빠 가예프, 농노의 자식으로 부를 일군 로파힌, 가정교사 샤를로타와 수양딸 바랴, 늙은 하인 피르스 등 주변 인물들은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의 모습과 겹친다. 체호프의 작품은 시대와 역사를 관통하는 동시대성과 해석의 다양함을 제공한다. 실제로 체호프는 <벚꽃동산>을 코미디(희극)라고 생각했고, 1904년 모스크바 예술극장에서 초연한 연출가 스타니슬랍스키는 비극으로 해석했다. 두 사람의 이견은 이 작품의 양면적 성격을 어떻게 연출할 것인가에 대해 후대의 연출자들에게 숙제로 남겨두었다. 따라서 이번 토월극장 무대에서는 사실적이고도 서사적인 무대와 텍스트 자체를 깊이 있게 해석해내는 지차트콥스키의 연출이 더욱 관심을 모은다. 일상적 삶의 내적 아이러니 담아
다른 해석·인물들 역동성 ‘볼거리’
지차트콥스키는 최근 국내 언론 인터뷰에서 “러시아의 몰락한 귀족 여성 라넵스카야를 기존의 노부인으로 표현하지 않고 세상을 향해 전진하는 당당하고 아름다운 40대 여성으로 그릴 것”이라고 연출의도를 밝혔다. “체호프 작품을 할 때마다 강하고 깊이있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작품의 등장인물은 사실적이고 역동적인 인물이라서 고정적인 이미지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작품을 읽을수록, 이해할수록 다양한 표정과 특징을 가진 인물들임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는 “‘소리는 들려도 받아들이는 것은 다르다’라는 러시아 속담이 있다”며 “작품을 받아들이는 관객마다 그 느낌이 다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공연에서는 2004년 <갈매기> 공연에서 강렬한 시청각적인 무대효과로 극찬을 받았던 무대디자이너 에밀 카펠류시가 30m에 이르는 토월극장을 깊이있게 입체적으로 사용할 독특한 감각의 무대미술도 기대된다. 또한 원로 연기자 신구씨를 비롯해 지차트콥스키가 까다롭게 뽑은 이혜정, 장재호, 이찬영, 이지혜, 박성민, 안순동, 이춘남, 이안나, 김태균, 이종무, 지니 등 한국 배우들의 연기 또한 관심거리. 한국 공연을 마친 뒤 11월 러시아 볼코프 국제 연극 페스티벌에도 초청돼 본고장인 러시아 관객과도 만난다. (02)580-1300. 정상영 기자 chung@hani.co.kr, 사진 예술의전당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